자동차 부품업계가 정부의 '2035년 무공해차 보급 목표'에 대해 우려를 나타내며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지난달 완성차·부품·학계가 한목소리로 문제를 제기한 데 이어, 부품업계가 다시 한번 현실을 고려한 정책의 재조정을 호소하고 나선 것이다. 정부 방침대로라면 내연기관 중심의 부품업계 절반 이상이 존폐의 기로에 설 수 있는 만큼, 목표의 현실화가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13일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KAICA)은 정부가 논의 중인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의 수송부문 무공해차 보급 계획과 관련해 반대 입장을 담은 성명을 발표했다. 이택성 KAICA 회장은 "부품업계의 여건을 진지하게 직시하고, 산업 생태계와 고용 안정을 고려한 현실적인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부품업계는 정부가 제시한 무공해차 보급 목표(840만~980만대, 등록 비중 30~35%)가 과도하다고 지적했다. 조합은 산업·고용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550만~650만대, 등록 비중 20% 내외로 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회장은 "980만대 시나리오대로라면 2034년부터 내연기관차 판매가 사실상 전면 중단돼야 하지만, 부품기업의 사업 전환율은 20%에도 미치지 못한다"며 "현실적으로 달성이 어렵다"고 호소했다.
국내 부품기업 1만여개 중 절반가량(45%)이 내연기관 관련 부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관련 종사자만 11만명에 이른다. 업계는 "급격한 전환이 추진될 경우 대규모 구조조정과 고용 불안이 불가피하다"며 "내연기관 중심의 부품기업의 생태계를 고려하지 않은 정책은 산업 기반을 무너뜨릴 수 있다"고 우려했다.
또한 전기차·수소차 중심의 일방적 전환보다는 하이브리드(HEV),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e-퓨얼(탄소중립연료) 등 다양한 감축 기술을 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내연기관을 기반으로 한 HEV나 e-퓨얼 차량을 탄소 감축 수단에 포함시키면, 친환경 부품기업 전환도 보다 연착륙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마지막으로 부품업계는 정부에 현실을 반영한 목표 재조정과 함께 △미래차부품산업특별법 예산 조기 반영 △전환 기업 대상 정책금융 확대 △미래차 부품 R&D 지원 강화 △전기차 생산 세액공제 도입 등 정책 지원을 요청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