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아르헨티나와 200억달러 규모의 통화스와프 계약을 맺는 등 우호적 행보를 보이는 것은 단순한 외교적 제스처가 아니라 아르헨티나의 핵심 광물 확보와 대중(對中) 견제를 위한 전략적 움직임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12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 일간 라나시온은 하비에르 밀레이 아르헨티나 대통령에 대한 트럼프 행정부의 강력한 지지는 개인적·이념적 공감대를 넘어 미국의 대중남미 지정학적 전략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특히 지난 25년간 중국이 중남미 내에서 확장한 영향력을 되찾고 이 지역에서 사실상 유일한 동맹으로 남은 아르헨티나를 '시험대'로 활용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고 분석했다.
라나시온은 그 이면에 사업적 이해관계라는 실질적 이유가 있다고 짚었다. 트럼프 대통령과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이 아르헨티나에 매장된 에너지·광물 자원을 노리고 있으며, 우라늄·리튬·희토류 및 첨단 기술 사업에 대한 대규모 투자 기회를 엿보고 있다는 것이다. 앞서 베선트 장관은 지난 9일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아르헨티나는 중국을 배제하고 희토류와 우라늄 같은 핵심 분야에서 미국 민간 기업에 문을 열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또 라나시온은 미국이 밀레이 정부를 지지하는 조건으로 안정적인 국정 운영 문제를 제기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트럼프 행정부의 참모인 베리 베넷이 아르헨티나를 두차례 방문해 아르헨티나의 중간선거 이후 밀레이 대통령이 계속해서 국정 장악력을 유지할 수 있을지 직접 확인했다고 라나시온은 설명했다. 미국 측이 원하는 전략 광물 개발권은 아르헨티나 헌법에 따라 연방정부가 아닌 각 주 정부에 달려있기 때문에 밀레이 정부가 각 주지사와의 원만한 관계 회복을 통해 중간선거에서 이기고, 이후 미국의 각종 대규모 투자에 주 정부의 협력이 이어지기를 바라는 것이 트럼프 행정부의 의중인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과 밀레이 대통령은 오는 14일 미국 백악관에서 공식 양자 회담을 앞두고 있다. 현지 매체 암비토는 "이번 회담이 무역 협정 발표로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며 "약 100개 품목의 관세를 인하하는 조치가 공식화될 가능성이 제기된다"고 전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