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서 쥐가 출몰했다거나 쥐를 목격했다는 시민 민원이 최근 3년 사이에 2배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김위상 국민의힘 의원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올해 7월까지 서울시 내의 쥐 출몰·목격 민원은 총 9280건이 접수됐다.
연도별로는 2020년 1279건, 2021년 1043건, 2022년 1336건, 2023년 1886건, 2024년 2181건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모습이다. 지난해 기준으로 보면 2021년 대비 2배로 늘어난 것이다. 올해도 쥐 출몰·목격 민원은 7월까지 이미 1555건이 접수돼 지난해 전체 민원 건수의 71% 수준을 기록하는 등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 쥐 관련 민원을 자치구 별로 보면 강남구, 마포구, 관악구에서 가장 많았다.
김 의원은 "기후 변화로 쥐 출몰이 늘어나는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면서 "쥐는 감염병의 매개체가 되므로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도시환경 관리 체계를 갖출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쥐 개체 수 증가는 전 세계적으로 보편화한 현상이 되고 있다.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따르면 미국·일본 등 16개 도시 가운데 13곳에서 쥐 개체 수가 증가했으며 특히 미국 워싱턴D.C.는 최근 10년 동안 쥐가 4배나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쥐 개체 수 증가는 공중 보건 위협으로 이어질 수 있다. 쥐는 신증후군출혈열, 렙토스피라증 등 치명적인 질환을 옮기는 주유 매개체로 지목된다. 쥐의 소변이나 분비물을 통해 전파되는 신증후군출혈열은 고열과 신부전 등을 유발하며 치사율이 최대 15%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렙토스피라증 역시 발열과 근육통을 일으키며 중증으로 진행될 경우 치명적일 수 있다. 두 질병 모두 별도의 백신이 없어 무엇보다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 쥐나 쥐의 흔적을 발견한 서울 시민은 관할 구청이나 보건소에 신고하면 된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