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와 전남의 인공지능(AI) 산업을 둘러싸고 지역 간 경쟁 우려가 제기되는 가운데, 이병훈 호남발전특위 수석부위원장이 "국가 AI 컴퓨팅센터를 광주에 유치해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SK하이닉스가 전남 해남에 오픈AI와 함께 데이터센터를 설립·운영하기로 하면서 광주 AI 정책이 소외되고 전남으로 투자가 분산되는 것 아니냐는 시민단체와 시민들의 우려가 나왔다.
이에 대해 이병훈 수석부위원장은 12일 "광주와 전남은 경쟁할 대상이 아니라 역할과 기능을 명확히 구분하고 협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광주시가 인공지능 중심 산업융합 집적단지를 통해 국내 AI 산업·융합 촉진과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고 있으며, 700여 개 이상의 국내 AI기업(광주지역 200여 개)에 컴퓨팅 자원을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국가 AI 컴퓨팅센터가 광주에 설립되어야 자원의 통합·집중화를 통해 효율성과 효과성을 달성할 수 있다"며 "국가 주도의 광주 AI 집적단지와 민간 주도의 전남 오픈AI 사업화를 연계하면 시너지 효과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 수석부위원장은 또 광주와 전남의 AI 산업 상생을 위해 ▲AI 인재 양성 협력체계 구축 ▲AI 산업 융합 클러스터 조성 ▲공동 연구개발 ▲정주 여건 공동 개선 ▲정책 거버넌스 강화 등의 전략을 제시했다.
이 수석부위원장은 "국가 AI 컴퓨팅센터를 광주에 유치한 뒤, 광주와 전남 데이터센터가 상호보완적 역할을 하도록 체계를 정비해야 한다"며 "중앙정부, 정당, 지자체, 기업, 대학이 함께하는 협의 구조를 마련해 각 거점이 본연의 역할을 충실히 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