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산업 보호를 위해 도입된 반덤핑 무역구제 제도가 대기업 위주로 운영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10일 더불어민주당 정진욱 의원(광주 동남갑)이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6년간(2020~2025년 8월) 반덤핑 조사 신청기업 69개사 중 중소기업은 단 15개사(22%)에 불과했으며, 절반 가까운 34개사(49%)가 대기업으로 나타났다. 특히 올해는 신청 중소기업이 단 1개사에 그쳐 심각한 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다.
반덤핑 조사는 외국 기업의 저가 수출로 국내 산업이 피해를 입을 때 정부가 관세를 부과해 자국 산업을 보호하는 제도다. 이 제도는 신청된 46건 중 84.6%에서 관세 부과 판정이 내려질 만큼 효과적이다. 그러나 정작 수입 증가로 인한 직접적인 피해를 받는 중소기업들은 인력 부족과 복잡한 절차에 발목 잡혀 제도의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만족도 조사(2021~2024) 결과, '전문 대응인력 부족', '복잡한 신청 절차', '정보 접근성 제한'이 주요 애로사항으로 꼽혔다. 특히 '전문인력 부족' 응답 비율은 2024년 36%로 급증해 중소기업의 실무 대응 역량 부재가 심화된 것으로 분석됐다.
정 의원은 "무역구제 제도는 대한민국 산업 경쟁력과 직결되지만, 중소기업에는 '그림의 떡'이나 다름없다"고 지적한 뒤,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을 촉구했다.
정 의원은 사건 초기 단계부터 상담, 증거수집, 법률자문을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실무형 사전지원 패키지' 도입과 지역 중소기업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순회 설명회 및 온라인 교육 강화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