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에서 또다시 한국인이 납치·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최근 캄보디아에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납치 범죄가 급증하고 있어 범죄조직이 운영하는 고수익 아르바이트 및 여행을 주의해야 한다는 우려가 나온다.
11일 경찰 등에 따르면 경북 예천군 출신의 대학생 A씨(22)는 지난 8월8일 캄보디아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캄보디아 대사관과 현지 경찰에 따르면 A씨의 사인은 '고문과 극심한 통증으로 인한 심장마비'다. A씨는 캄보디아 캄폿주의 보코산 범죄단지 인근에 감금된 상태였다. A씨의 시신은 부검 및 현지 화장 일정으로 인해 2개월째 한국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있다.
A씨는 지난 7월17일 가족들에게 "여름방학 기간에 캄보디아 현지에서 열리는 박람회에 다녀오겠다"며 캄보디아로 향했다. 하지만 일주일 후 A씨 가족들은 "A씨가 이곳에서 사고를 쳐 감금됐는데 5000만원을 보내면 풀어주겠다"는 내용의 전화를 받았다. 전화 발신자는 A씨 명의의 휴대폰이었지만 목소리는 조선족 말투의 남성인 것으로 알려졌다. A씨 가족은 전화 내용을 경찰과 캄보디아 대사관에 신고했지만 협박범과의 연락은 4일 만에 두절됐다.
캄보디아에서 한국인을 상대로 한 납치 범죄가 늘어나는 추세다. 외교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캄보디아에서 발생한 한국인 납치·감금 신고 건수는 212건으로 집계됐다. 2022년 11건, 2023년 21건이던 캄보디아에서의 한국인 납치·감금 신고 건수는 지난해 221건으로 급증했다. 2년 새 캄보디아에서 한국인이 납치되는 사건이 약 20배 늘어난 셈이다.
한국인 납치 및 감금 사건은 주로 캄보디아 현지 범죄단지의 사기 작업장에서 발생한다. 범죄단체가 고수익을 보장하는 아르바이트 공고를 보고 찾아간 한국인들을 납치해 감금하는 방식이다. 외교부 등에 따르면 지난 8월6일에도 보코산 범죄단지에서 한국인 남성 B씨가 사망한 채 발견됐다. B씨의 시신은 보코산 범죄단지 안에서도 '웬치'라고 불리는 대규모 사기 콜센터에서 발견됐다. 웬치는 중국계 범죄 조직으로 수백명이 합숙하면서 보이스피싱, 투자 리딩 사기를 일으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캄보디아 현지에서 납치·감금으로 이어지는 고수익 일자리 알선은 한국에서도 벌어지고 있다. 제주동부경찰서는 지난 7월7일 20대 청년 C씨가 캄보디아에서 감금 및 협박을 당했다는 신고를 접수했다. 그는 지난 6월 지인으로부터 "캄보디아에 고수익 단기 일자리가 있다"는 말을 듣고 캄보디아로 출국했다. 하지만 캄보디아에 도착하자마자 C씨는 소개받은 현지인으로부터 휴대전화와 짐을 빼앗기고 금융계좌 정보를 요구당했다. 이 과정에서 C씨는 현지인에게 폭행당하기도 했다. C씨는 약 한 달간 감금되다가 현지 한국인의 도움을 받아 탈출했다. 취업을 알선한 지인은 이미 도주한 상태였다.
사기 사업장은 주로 중국계 범죄 조직이 운영했지만 최근 들어서는 초국가적인 범죄 양상을 띠고 있다.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캄보디아 현지 매체 크메르타임스 등에 따르면 캄보디아 당국은 20~40대 한국인 남성 3명을 사기 조직을 운영한 혐의로 구속기소했다. 이들은 캄보디아의 수도 프놈펜에 위치한 한 아파트에서 온라인 사기 작업장을 운영한 혐의를 받는다. 협박, 강요를 못 이겨 조직 사기에 가담한 피해자는 총 45명으로 한국인 30명, 캄보디아인 13명, 네팔인 1명, 방글라데시인 1명 등이다.
캄보디아 범죄단체 취업 사기·납치·감금 문제는 이미 국제적으로 지탄받는 대상이다. 인권단체 국제앰네스티는 지난 6월 캄보디아 범죄단체의 인신매매, 고문, 강제 노동 등을 고발하는 내용의 보고서를 내놓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캄보디아에는 조직적인 사기를 일으키는 범죄 시설이 최소 53곳 존재한다. 국제앰네스티는 캄보디아 정부가 범죄단체의 인권 침해 사실을 인지하고도 적절히 대처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뿐만 아니라 현지 경찰이 범죄단체와 결탁해 납치 및 감금을 사실상 묵인하고 있는 정황도 포착했다.
외교부는 지난달 17일 캄보디아 프놈펜에 여행 경보 2단계(여행 자제), 시하누크빌·보코산·바벳 등에는 2.5단계에 해당하는 특별여행주의보를 각각 발령했다. 외교부는 "이번 여행 경보 상황은 국민의 취업사기 및 감금 피해가 주로 발생한 프놈펜과 캄보디아·베트남 국경 지역인 바벳 등이 대상"이라며 "특별여행주의보가 발령된 지역을 방문할 예정인 국민은 방문을 취소 및 연기해주고 해당 지역에 체류 중인 국민은 안전한 지역으로 이동해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