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년간 서울시민들의 음주율과 우울감이 증가세를 보였다.
6일 서울시여성가족재단이 최근 발간한 '서울시민의 건강 현황과 성 인지적 건강 정책의 필요' 보고서를 보면, 서울 여성의 음주율은 2020년 40.3%에서 2024년 45.6%로 5.3%포인트 증가했다. 남성은 같은 기간 66.5%에서 67.7%로 늘어 여성보다 증가 폭은 작았으나 높은 수치를 보였다. 음주율은 최근 1년 동안 한 달에 1회 이상 술을 마신 적이 있는 사람의 분율이다.
비교적 '위험한 음주'를 하는 사람들의 비율도 증가세를 보였다. 고위험 음주자의 경우 여성은 2020년 7.1%에서 2024년 8.2%로, 남성은 같은 기간 18.0%에서 19.6%로 모두 늘었다. 남성의 경우 5명 가운데 1명은 건강을 해칠 정도로 술을 마시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우울감 경험률도 여성과 남성 모두 증가 추세를 나타냈다. 여성은 2018년 6.4%에서 2024년 8.8%로 상승했으며, 남성 역시 3.6%에서 6.0%로 6년 만에 거의 2배로 증가했다.
흡연율의 경우 여성은 2020년 3.0%에서 2024년 3.9%로 소폭 증가했다. 여전히 남성보다 현저히 낮은 수준이지만, 남성 흡연율이 같은 기간 28.9%에서 26.6%로 감소한 것과 대조적인 결과를 보였다. 흡연율은 평생 5갑 이상 흡연한 사람으로서 현재 흡연하는 사람의 분율을 의미한다.
이번 보고서는 질병관리청의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 보고와 원자료 가운데 서울시 응답 자료(연간 약 2만명)를 활용해 분석한 것이다. 보고서는 "성별 차이를 고려한 건강 위험군 관리가 필요하다"며 "여성은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과 우울감 조기 개입 체계를, 남성은 흡연·음주 등 건강 위험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라고 당부했다.
한편 신체활동(운동) 실천율 역시 증가한 것은 긍정적이다. 여성의 경우 중강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은 2020년 13.85에서 2024년 20.3%로 증가했고, 남성도 23.1%에서 30.4%로 높아졌다. 같은 기간 걷기 실천율 또한 여성은 49.9%에서 67.2%로, 남성은 56.7%에서 68.1%로 모두 상승했다. 하지만 비만율의 경우 남성은 40.0%로 여성(21.0%)의 두배에 달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