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감 술로 달랬나…서울 시민 음주율·우울감 모두 증가

여성은 흡연율도 증가해
다행히 운동 실천도 많아져

지난 4년간 서울시민들의 음주율과 우울감이 증가세를 보였다.


우울감 술로 달랬나…서울 시민 음주율·우울감 모두 증가 원본보기 아이콘

6일 서울시여성가족재단이 최근 발간한 '서울시민의 건강 현황과 성 인지적 건강 정책의 필요' 보고서를 보면, 서울 여성의 음주율은 2020년 40.3%에서 2024년 45.6%로 5.3%포인트 증가했다. 남성은 같은 기간 66.5%에서 67.7%로 늘어 여성보다 증가 폭은 작았으나 높은 수치를 보였다. 음주율은 최근 1년 동안 한 달에 1회 이상 술을 마신 적이 있는 사람의 분율이다.

비교적 '위험한 음주'를 하는 사람들의 비율도 증가세를 보였다. 고위험 음주자의 경우 여성은 2020년 7.1%에서 2024년 8.2%로, 남성은 같은 기간 18.0%에서 19.6%로 모두 늘었다. 남성의 경우 5명 가운데 1명은 건강을 해칠 정도로 술을 마시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우울감 경험률도 여성과 남성 모두 증가 추세를 나타냈다. 여성은 2018년 6.4%에서 2024년 8.8%로 상승했으며, 남성 역시 3.6%에서 6.0%로 6년 만에 거의 2배로 증가했다.


흡연율의 경우 여성은 2020년 3.0%에서 2024년 3.9%로 소폭 증가했다. 여전히 남성보다 현저히 낮은 수준이지만, 남성 흡연율이 같은 기간 28.9%에서 26.6%로 감소한 것과 대조적인 결과를 보였다. 흡연율은 평생 5갑 이상 흡연한 사람으로서 현재 흡연하는 사람의 분율을 의미한다.

이번 보고서는 질병관리청의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 보고와 원자료 가운데 서울시 응답 자료(연간 약 2만명)를 활용해 분석한 것이다. 보고서는 "성별 차이를 고려한 건강 위험군 관리가 필요하다"며 "여성은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과 우울감 조기 개입 체계를, 남성은 흡연·음주 등 건강 위험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라고 당부했다.


한편 신체활동(운동) 실천율 역시 증가한 것은 긍정적이다. 여성의 경우 중강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은 2020년 13.85에서 2024년 20.3%로 증가했고, 남성도 23.1%에서 30.4%로 높아졌다. 같은 기간 걷기 실천율 또한 여성은 49.9%에서 67.2%로, 남성은 56.7%에서 68.1%로 모두 상승했다. 하지만 비만율의 경우 남성은 40.0%로 여성(21.0%)의 두배에 달했다.





구나리 기자 forsythia26@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