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투자 전략 수립이 확산되면서, 이를 따라잡지 못할까 불안함을 호소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국내 성인 10명 중 6명은 'AI 재테크' 흐름에서 뒤처질까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최근 만 20세 이상 60세 이하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생성형 AI 확산과 불안 경험' 관련 설문조사 결과, 투자 분야에서 AI를 활용하는 추세에 불안을 느낀다는 응답 비율은 59.1%로 집계됐다.
조사는 업무 관련 지식 습득, 자산 관리(재테크), 본인 또는 자녀의 학습·교육 등 AI가 가장 널리 활용되는 세 가지 분야를 제시하고, 해당 흐름에 자신이 제대로 적응하고 있는지를 묻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응답자 중 AI 기반 업무 지식 습득에서 뒤처질까 불안하다고 답한 비율은 67.2%였으며, 학습·교육 분야에 대해서도 54.9%가 비슷한 감정을 느낀다고 밝혔다. 이 중 재테크 영역에서 불안하다는 응답은 전체의 약 60%에 달했다.
실제로 최근에는 챗 GPT 같은 생성형 AI를 이용해 증권사 보고서 요약을 맡기거나, 특정 종목의 매수 가능성을 AI에게 분석 요청하는 등 'AI 재테크'의 활용 범위가 빠르게 넓어지고 있다. 일부 투자자는 AI를 통해 중장기 포트폴리오 전략까지 세우는 것으로 알려졌다.
설문을 분석한 양정애 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위원은 보고서에서 "재테크와 관련한 AI 불안은 특히 30대 응답자 사이에서 높게 나타났다"며 "30대는 사회에 진입해 자산을 형성해가는 과정에 있어 투자에 대한 관심이 많고, AI를 실용적으로 활용하려는 경향이 두드러진다"고 해석했다. 실제로 해당 연령대에서는 64.5%가 불안하다고 응답해 전 연령대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생성 AI를 직접 활용해 투자 활동을 하고 있다고 답한 사람은 전체 응답자의 35%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AI를 투자 도구로 활용하는 것이 유용할 수는 있지만, 그 분석 결과를 그대로 믿는 것은 위험하다고 경고한다. AI가 제공하는 정보는 종종 정확한 근거 없이 결론을 내리거나, 상식에서 벗어난 추론을 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생성형 AI마다 알고리즘이나 학습 데이터가 달라 편향된 해석을 내릴 수 있으며, 유료와 무료 버전 간에도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며 "AI의 분석을 절대적 판단 기준으로 삼기보다는 여러 정보를 비교·검증하는 습관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