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하루 전 與野 '민생' 네 탓 공방

"발목잡기" vs "포퓰리즘"

추석을 하루 앞두고 여야가 생활물가 상승 등 민생경제를 둘러싸고 '네 탓' 공방을 벌였다.


박지혜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5일 국회 브리핑에서 "민생과 경제를 살리는 데 여야가 따로 있을 수 없다. 국민의힘은 정쟁을 위한 마구잡이식 '발목 잡기' 정치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말했다.

민족 대명절 추석을 앞두고 있는 5일 서울 서초구 하나로마트 양재점에서 배 선물세트를 판매하고 있다. 사진=강진형 기자aymsdream@

민족 대명절 추석을 앞두고 있는 5일 서울 서초구 하나로마트 양재점에서 배 선물세트를 판매하고 있다. 사진=강진형 기자aymsdream@

원본보기 아이콘

박 대변인은 "이재명 대통령은 추석 명절 인사를 통해 '국민 통합'과 '성장 회복'이라는 민생정책 방향을 제시했다"며 "대통령의 의지에 국회가 반드시 함께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서는 갈등의 정치를 넘어 국민을 위한 통합의 정치로 나아가야 한다"며 "국정 안정과 책임의 정치만이 국민의힘이 공당으로 거듭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덧붙였다.


반면 최수진 국민의힘 원내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추석을 앞두고 서민 식탁 전반의 물가가 폭등했지만, 이재명 정부는 기업의 불공정거래 탓으로 돌리고 있다"며 "현실 진단 대신 남 탓에만 몰두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 원내대변인은 "시장경제의 기본원리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대통령의 경제관에 국민은 불안할 수밖에 없다"며 "민생쿠폰과 같은 포퓰리즘 정책이 물가 폭등의 근본 원인"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국민이 원하는 것은 보여주기식 쿠폰이 아니라 장바구니에서 체감할 수 있는 물가 안정"이라며 "서민의 밥상 물가를 실질적으로 안정시킬 근본적인 대책을 내놔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 2일 발표된 '9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 물가지수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2.1% 올랐다. 특히 빵(6.5%), 커피(15.6%), 국산 소고기(4.8%), 돼지고기(6.3%), 고등어(10.7%) 등 식품 물가가 큰 폭으로 상승했다.





김영원 기자 forev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