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장바구니 물가 폭등에…"포퓰리즘성 지출 중단해야"

소비자물가 2.1% 등 식탁물가 전반 상승
野, 정부 민생 대책에 연일 공세

국민의힘이 최근 장바구니 물가 상승과 관련해 정부의 재정 집행 방식에 문제를 제기했다. 명절을 앞두고 생활필수품 가격이 전반적으로 오르고 있는 가운데 이를 "이재명 정부의 돈 살포형 정책 때문"이라고 규정했다.


추석연휴를 앞둔 2일 서울 시내 한 전통시장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연합뉴스

추석연휴를 앞둔 2일 서울 시내 한 전통시장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최수진 국민의힘 원내수석대변인은 5일 논평에서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물가 지표를 보면 서민들이 주로 소비하는 항목들이 전방위적으로 올랐다"며 "빵은 (일 년 전보다) 6.5%, 커피는 15.6%, 축산물은 5.4%, 수산물은 6.4%나 올랐다"고 언급했다. 그는 "서울 시내 식당의 공깃밥 가격은 2000원을 넘어섰고, 일부는 3000원을 받는 곳도 있다. 밥 한 공기조차 부담스러운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정부가 물가 상승의 원인을 기업의 불공정 행위로 돌리고 있는데 대해서도 비판을 제기했다. 최 대변인은 "조선시대 매점매석이 사형이었다는 말로 기업을 겁주기도 한다"며 "시장경제를 처벌로 통제하려는 발상이 바로 사형경제학"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전문가들조차 물가 상승이 장기화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지만, 정부는 현실을 직시하지 못하고 남 탓만 하고 있다"며 "국민이 원하는 건 보여주기식 쿠폰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체감되는 물가 안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재명 정부는 포퓰리즘성 재정 지출을 중단하고, 지속 가능한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했다.


하루 전인 4일에는 이충형 국민의힘 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정부·여당이 정작 해야 할 민생 정책은 외면한 채 정치적 공세에만 몰두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물가와 부동산 가격은 급등하고 있지만 이렇다 할 대응은 보이지 않는다"며 "민생은 뒷전이고, 정치적 폭주만 계속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부동산값 폭등과 물가 불안 속에 이재명 정부는 '문재인 정부 시즌 2'로 치닫고 있다. 말뿐인 민생이 아니라 실질적이고 체감 가능한 정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가데이터처가 지난 2일 발표한 9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1% 상승해 두 달 만에 다시 2%대를 기록했다. 축산물, 수산물, 가공식품 등 주요 먹거리 품목이 물가 상승을 견인했다. 달걀 가격은 추석 수요 영향으로 9.2% 상승하며 3년8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상승을 기록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는 추석 제사용품 구매에 드는 비용이 4인 기준 평균 32만2752원으로 추석 3주 전 조사 때보다 2.3% 줄었다고 밝혔다.


정부는 농축수산물과 석유류 등 주요 품목에 대한 수급과 가격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지만, 야권은 실효성 있는 정책으로 보기 어렵다는 입장을 이어가고 있다.





김은하 기자 galaxy65657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