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한 주택가에서 부동산 중개인과 함께 집을 본 남성이 비밀번호를 파악했다가 몰래 침입한 뒤 절도 범행을 저질러 구속됐다.
4일 경찰청 유튜브 채널 등에 따르면 지난 6월 서울의 한 주택가에서 남성 A씨는 부동산 중개인과 함께 집을 보러 방문했으나 거주자는 부재중이었다. 앞서 중개인은 비밀번호를 미리 받아놨고 이를 통해 집을 소개했다.
서울 한 주택가에서 부동산 중개인과 함께 집을 본 남성이 비밀번호를 파악했다가 몰래 침입한 뒤 절도 범행을 저질러 구속됐다. 경찰청 유튜브 채널 '대한민국 경찰청' 화면 캡처
원본보기 아이콘A씨는 중개인이 현관 비밀번호를 누를 때 유심히 살펴봤다. 그러고는 20분 뒤 이 집에 다시 찾아와 비밀번호를 누르고 몰래 침입했다.
A씨는 385만원 상당의 금품과 카드를 훔쳐 미리 준비해간 가방에 담은 뒤 도주했다. 영상에는 A씨가 미리 준비한 가방을 들고 공동 현관을 빠져나가는 모습도 담겼다.
피해자는 엉망이 된 집을 수상하게 여겼고 금품이 사라진 사실을 확인해 경찰에 신고했다.
경찰은 휴대전화 위치추적으로 수색에 나서 찜질방으로 추정되는 장소에서 A씨를 붙잡았다. A씨는 훔친 금품을 사채를 갚는 데 쓴 것으로 전해졌다. A씨는 추후 구속됐다. 경찰은 자세한 사건 경위를 조사 중이다.
해당 영상 댓글에 누리꾼들은 "부동산 중개인도 비밀번호 누를 때 조심해야겠다", "앞으로 어떻게 집을 보여주나", "비밀번호 노출이 안 되도록 부동산마다 주의가 필요하다"고 반응했다.
한편, 최근 경찰청 범죄통계를 보면 절도 범죄 중 주거침입 유형은 전체의 약 44%를 차지한다. 주로 단독·다세대 주택 등 외부 노출이 많은 저층 주거지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