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년간 빚 안 갚은 해외이주자 채권액 1589억…회수율 0.8%

미회수 금액 1576억원

지난 10년간 빚을 갚지 않고 해외로 이주한 이들의 채권액이 1500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4일 국회 정무위원회 이양수 국민의힘 의원이 한국자산관리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5년~2025년 6월까지 최근 10년간 국내 금융기관에 채무를 갚지 않고 해외로 이주해버린 사람은 총 2637명으로 집계됐다.

이들의 채권액은 총 1589억원에 달했으나 회수금액은 0.8%인 약 13억원에 불과했다. 전체 채권액의 99%인 1576억원은 회수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2018년 이후 현재까지 해마다 회수금액이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양수 국민의힘 의원. 이양수 의원실 제공

이양수 국민의힘 의원. 이양수 의원실 제공

원본보기 아이콘

연령대별로 채무액이 가장 많은 순을 살펴보면 60대가 887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70대가 447억원, 50대가 211억원으로 뒤를 이었다. 이들의 채무액은 전체 채무액의 97%에 달하는 금액이다.


각 기관이 보유한 국외 거주 채무관계인 포함 차주의 고액 채권 순위를 살펴보면 10건 모두 연대보증으로 채무를 진 것으로 나타났다. 케이알앤씨가 보유한 채권액이 83억7600만원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현행 해외이주법에서는 연고·무연고 이주는 출국 전, 현지 이주는 영주권 취득 후 해외 이주 신고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을 뿐이다. 또한 국외 이주 여부를 파악하더라도 개인정보 보호법상 '개인 정보보호 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야만 해외 거주지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실정이다.

이양수 의원은 "금융기관에 채무가 있는데도 해외로 이민을 나가는 채무자들의 경우 채권 회수가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라며 "고액 채무자들은 해외 재산은닉을 통한 채무 고의 회피 등 범죄의 가능성이 존재하는 만큼, 관련 법령 정비를 통해 국가재정 손실을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유리 기자 yr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