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13명씩' 죽어 나간다…50대 남성 가장 많아, 대폭 늘어난 알코올 사망

알코올 사망 증가률, 40대가 가장 높아

알코올 관련 원인으로 숨진 사람이 지난해와 비교해 올해 대폭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알코올성 간 질환, 알코올성 위염 등이 여기에 속한다.


연합뉴스는 4일 국가데이터처의 '2024년 사망원인통계'를 인용해 지난해 알코올 관련 사망자 수는 4823명이라고 보도했다. 전년 대비 361명(8.1%) 늘어난 수치다. 하루 평균 13.2명이 알코올 때문에 생명을 잃었다.

(해당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픽사베이

(해당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픽사베이

원본보기 아이콘

또 인구 10만명당 알코올 관련 사망률은 9.4명으로 전년(8.7명) 대비 8.3% 증가했다. 사망률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50대(19.6명)였다. 이어 60대(18.3명), 70대(12.4명), 40대(10.6명), 80대 이상(7.8명), 30대(3.0명), 20대(0.3명) 등이다.


전년과 비교해 사망률이 증가한 연령은 40대(12.2%)였다. 이어 30대(11.2%), 50대(7.7%), 60대(5.2%), 70대(4.5%) 순이었다. 20대(-37.7%)와 80대 이상(-2.9%)은 사망률이 전년보다 낮아졌다.


성별로는 남성의 알코올 관련 사망률(15.9명)은 여성(3.1명)의 5배 수준이었다. 다만 전년 대비 남성(5.9%)보다 여성(22.7%)의 비율이 눈에 띄게 상승했다.

질병관리청의 '2024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보면 지난해 30대 여성의 고위험 음주율은 12.6%로 전년보다 3.1%포인트, 9년 전보다 6.4%포인트 올랐다. 전체 여성 가운데 30대의 고위험 음주율이 가장 높았다. 질병청은 최근 1년간 1회 평균 음주량이 5잔 이상(여성 기준)이면서 주 2회 이상 음주하면 고위험 음주, 월 1회 이상 한 번의 술자리에서 5잔 이상 음주하면 월간 폭음으로 본다.


한편 최근 술을 많이 마시는 여성일수록 근육, 혈관 등 연부조직에서 기원한 악성 종양(암)인 '연부조직 육종' 발생률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연부조직 육종은 성인 악성 종양의 약 1%를 차지하는 드문 종양으로 알려졌다.





김은하 기자 galaxy65657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