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례상, 이젠 안 올리는 게 대세…10곳 중 4곳에 불과

농촌경제연구원 온라인 설문조사
바나나·오렌지 등 수입 과일도 늘어
절반 이상 "본가·친척집 방문" 응답

올해 추석에 차례상을 차리겠다는 가정은 10곳 중 4곳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3일 발표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전국 17개 시도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과일 소비자 패널 1000명 중 '추석 차례상을 차린다'고 답한 응답자는 40.4%였다. 이는 2016년 74.4%와 비교해 34.0%포인트 감소한 수치다. 불과 7년 사이 절반 가까이 줄어든 것이다. 연구원은 명절 의례 간소화, 핵가족화, 가치관 변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추석 차례상. 픽사베이

추석 차례상. 픽사베이

원본보기 아이콘

연휴 계획에 대해서는 '본가·친인척 집 방문'이 54.2%로 가장 많았으며, '집에서 휴식·여가'가 34.9%로 뒤를 이었다. 이어 '국내여행' 5.5%, '해외여행' 2.7% 순으로 조사됐다. 차례상을 차리지 않는 가정이 늘어난 것과 함께, 차례상을 준비하더라도 간소화하는 흐름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차례 음식 준비 방식은 '전통 예법에 맞춰 간소화한다'는 응답이 58.4%로 가장 높았고, '전통 예법에 따른 준비'는 21.0%에 그쳤다. '가족이 좋아하는 음식 위주'(14.9%), '조상이 좋아하던 음식 위주'(5.2%)라는 응답은 소수에 머물렀다. 2016년 조사와 비교하면 '전통 예법에 따른 준비'는 47.6%에서 21.0%로, '조상 선호 음식 위주'는 10.3%에서 5.2%로 절반 가까이 줄었다. 반면 '전통 예법에 맞춰 간소화'는 29.8%에서 58.4%로 두 배 가까이 늘었고, '가족 선호 음식 위주'도 12.4%에서 14.9%로 소폭 상승했다.


시민들이 추석을 앞두고 차례상 장을 보고 있다. 연합뉴스

시민들이 추석을 앞두고 차례상 장을 보고 있다.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차례상에 올리는 과일 역시 변화를 보였다. 국산 과일 가운데는 배(28.9%)와 사과(28.6%)가 비슷한 수준으로 가장 높았으며, 단감(17.4%)과 포도(13.2%)가 뒤를 이었다. 한편 수입 과일을 올린다는 응답은 34.9%로 2016년보다 11%포인트 증가했다. 수입 과일 중에서는 바나나(49.5%)가 압도적으로 많았고, 오렌지(22.0%), 키위(9.8%), 파인애플(7.9%) 순으로 집계됐다.

연구원 관계자는 "명절 의례에 대한 부담이 줄어들면서 가족 중심의 실용적인 명절 문화로 재편되는 추세"라고 바라봤다.





이이슬 기자 ssmoly6@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