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추석에 차례상을 차리겠다는 가정은 10곳 중 4곳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3일 발표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전국 17개 시도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과일 소비자 패널 1000명 중 '추석 차례상을 차린다'고 답한 응답자는 40.4%였다. 이는 2016년 74.4%와 비교해 34.0%포인트 감소한 수치다. 불과 7년 사이 절반 가까이 줄어든 것이다. 연구원은 명절 의례 간소화, 핵가족화, 가치관 변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연휴 계획에 대해서는 '본가·친인척 집 방문'이 54.2%로 가장 많았으며, '집에서 휴식·여가'가 34.9%로 뒤를 이었다. 이어 '국내여행' 5.5%, '해외여행' 2.7% 순으로 조사됐다. 차례상을 차리지 않는 가정이 늘어난 것과 함께, 차례상을 준비하더라도 간소화하는 흐름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차례 음식 준비 방식은 '전통 예법에 맞춰 간소화한다'는 응답이 58.4%로 가장 높았고, '전통 예법에 따른 준비'는 21.0%에 그쳤다. '가족이 좋아하는 음식 위주'(14.9%), '조상이 좋아하던 음식 위주'(5.2%)라는 응답은 소수에 머물렀다. 2016년 조사와 비교하면 '전통 예법에 따른 준비'는 47.6%에서 21.0%로, '조상 선호 음식 위주'는 10.3%에서 5.2%로 절반 가까이 줄었다. 반면 '전통 예법에 맞춰 간소화'는 29.8%에서 58.4%로 두 배 가까이 늘었고, '가족 선호 음식 위주'도 12.4%에서 14.9%로 소폭 상승했다.
차례상에 올리는 과일 역시 변화를 보였다. 국산 과일 가운데는 배(28.9%)와 사과(28.6%)가 비슷한 수준으로 가장 높았으며, 단감(17.4%)과 포도(13.2%)가 뒤를 이었다. 한편 수입 과일을 올린다는 응답은 34.9%로 2016년보다 11%포인트 증가했다. 수입 과일 중에서는 바나나(49.5%)가 압도적으로 많았고, 오렌지(22.0%), 키위(9.8%), 파인애플(7.9%) 순으로 집계됐다.
연구원 관계자는 "명절 의례에 대한 부담이 줄어들면서 가족 중심의 실용적인 명절 문화로 재편되는 추세"라고 바라봤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