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시코의 한 해양학자가 상어 연구 활동을 하던 중 갈라파고스 상어에 머리를 물리는 사고를 당했으나 목숨을 건졌다. 그는 "상어 잘못은 아니다"며 방어적 행동이었다고 강조했다.
1일 뉴욕타임스(NYT)는 멕시코 출신 해양학자 마우리시오 오요스 박사(48)가 지난달 27일 연구 활동 중 상어의 공격을 받았다고 보도했다.
상어 이동 경로 연구팀의 수석 과학자인 오요스 박사는 당시 스쿠버 장비를 착용하고 코스타리카 남서쪽에서 640㎞가량 떨어진 코코스섬의 인근 바다로 잠수했다. 그는 상어에게 상어 개체를 식별하기 위한 태그를 부착하는 연구를 진행하던 중이었다.
수심 39m쯤에 도달했을 때 몸길이 약 2.7m의 갈라파고스 상어를 발견한 그는 태그를 발사해 등지느러미 근처에 꽂았다. 하지만 곧 상어가 불과 1m 거리에서 돌진했고 그의 머리를 물었다. 오요스 박사는 당시 상황에 대해 "머리 전체가 단 1초도 안 돼 상어 입 안에 들어갔다"며 두개골이 삐걱하는 소리를 들었다고 전했다.
이후 상어는 머리를 뱉고 떠났지만 상어의 공격으로 마스크는 피와 물로 가득 찼고, 공기 호스도 절단됐다. 시야를 잃은 그는 그림자로 상어가 멀어지는 것을 확인했다. 요오스 박사는 "상어가 원했다면 나를 죽일 수도 있었다"고 말했다.
다친 채 호흡 장비까지 고장 난 그는 잠수병을 피하기 위해 천천히 상승했다. 물에 떠오른 그는 동료에게 응급처치를 받았고, 인근 병원으로 이송돼 턱 수술을 앞두고 있다. 오요스 박사의 두피와 얼굴 상처는 총 27곳으로, 상어 이빨 자국과 일치한다.
함께 연구 중이던 비영리단체 핀스 어태치드 해양 연구·보전의 알렉스 안토니우 박사는 "그는 상어 행동을 이해하고 있었기 때문에 일반 다이버와 다른 대응을 했다"며 "자연은 예측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30년간 백상아리, 범상어 등 다양한 상어를 연구해온 오요스 박사는 "숨을 들이마셨지만 공기가 들어오지 않았다. 그러나 차분하게 해야 할 일을 생각했다"고 당시를 설명했다. 사고 당시 암컷 상어의 반응에 대해서는 "태그 부착에 놀라 방어적으로 나타난 것"이라며 "상어도 겁을 먹었다. 내 잘못도, 상어 잘못도 아니었다"고 말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