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해외에서 발생한 보이스피싱 범죄가 중국에서 동남아시아 등으로 확산하는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에서 발생한 보이스피싱 범죄에 대한 영사조력 건수도 크게 늘었다.
이재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3일 공개한 외교부 '해외 보이스피싱 범죄 가해 영사조력 제공 건수'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해외 보이스피싱 가해자에 대한 영사조력은 총 46건으로, 지난해 전체 보이스피싱 영사조력 건수인 28건을 이미 크게 넘어섰다.
심각한 것은 보이스피싱 범죄의 주요 발생지가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로 확산되고 있다는 점이다. 작년 영사조력 수 28건에서 중에서는 중국이 18건으로 보이스피싱 주요 발생지로 지목되었으나, 올해 상반기에는 태국(18건), 필리핀 (9건), 캄보디아 (5건), 베트남 (3건) 등 동남아시아 국가 전반에서 보이스피싱 범죄가 증가했다.
이는 보이스피싱 범죄 조직의 활동 범위가 동남아시아 전역으로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아울러 보이스피싱과 관련해 특정 국가를 넘어선 국제 공조 및 예방 체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외교부는 해외 보이스피싱 사건사고 관련 영사조력이 증가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2024년 2월부터 영사민원시스템 사건사고 범죄 유형에 보이스피싱을 추가하였다고 밝혔다 .
이 의원은 "보이스피싱이 여러 국가로 확산되고 있는 만큼,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시급하다"며 "정부는 동남아 국가들과의 공조를 강화하는 등 적극적이고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