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경절에도 극장 관객몰이 힘 부치는 中…그래도 믿을 건 애국심 호소

박스오피스는 기대 못 미쳐…명절 특수 약화

중국 최대 명절인 국경절 연휴(10월 1∼8일)가 시작된 가운데, 현지 극장가에는 한국전쟁 등을 다룬 애국주의 영화가 흥행 상위권에 올랐다. 전반적인 흥행 성적은 예년보다 못한 모습이다.


중국중앙TV(CCTV)는 2일 박스오피스 집계 플랫폼 덩타를 인용해 연휴 이틀째인 이날 오후 12시 25분 기준 국경절 박스오피스 수익이 약 5억위안(약 982억4500만원)을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지난해 국경절 연휴 첫날 오후 8시께 이미 4억9000만위안을 돌파했던 것에 견줘 상대적으로 부진한 기록이다. 2023년에는 연휴 시작 이틀 만에 영화 예매 총 규모가 10억 위안을 넘어선 바 있다. 극장가 '명절 특수'가 해가 갈수록 약해진 셈이다.


중국 영화 '지원군:욕혈화평'. 연합뉴스

중국 영화 '지원군:욕혈화평'.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이런 가운데 비교적 흥행한 작품은 대부분 애국주의 성향을 띤다.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한 작품은 천카이거 감독이 연출한 '지원군: 욕혈화평(浴血和平)'이다. 이 영화는 '지원군' 시리즈의 마지막 3편으로 중국군이 참여한 한국전쟁 제5차 전투부터 정전협정 체결까지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앞서 공개된 1·2부도 각각 2023년과 2024년 국경절 연휴에 개봉해 상위권 흥행 성적을 기록한 바 있다.


2위는 판타지 액션영화 '척살소설가'의 후속작 '척살소설가2'가 차지했다. 3위에는 일제의 중국 침략 당시 일본군 731부대의 세균전과 생체실험을 다룬 영화 '731'이 올랐다. 이 작품은 만주사변이 발발한 지난달 18일 개봉한 후 꾸준히 관심을 받고 있다. 현지 경제매체 이차이는 이른바 '주선율' 영화가 여전히 관객들에게 호소력이 있다고 평가했다. '주선율'이란 공산주의 이념이나 국가를 선전하는 소재를 중심으로 한 장르를 말한다.

한편 중국 영화 시장에서 국경절 연휴는 춘제(음력설) 다음으로 큰 시즌으로, 영화업계 매출은 중국 내수 경기를 가늠하는 주요 지표 중 하나로 간주된다. 이차이는 "흥행성 있는 작품이 부족하다는 입소문이 나고 관객 선택이 신중해지면서 극장가 활력이 떨어진 것으로 보인다"라고 분석했다.





김현정 기자 kimhj202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