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주인을 찾고 있는 홈플러스의 매각 시한인 11월이 코앞으로 다가왔다. 최대주주인 MBK파트너스(이하 MBK)가 2000억원의 현금 지원을 예고하는 등 매각을 성사시키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새 주인 찾기는 난항이 예상된다.
5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서울회생법원과 주관사 삼일PwC는 추석 연휴 직후 홈플러스 입찰 공고를 내고 본격적인 매각 작업에 나설 예정이다. 오는 31일까지 인수의향서 및 비밀 유지 확약서를 접수하고, 내달 3일~21일 예비 실사를 거쳐 내달 26일까지 입찰서를 접수할 계획이다.
앞서 홈플러스는 올 3월 기업 회생 절차(법정관리)를 신청했고, 회생법원이 6월 인가 전 인수합병(M&A)을 허용하면서 새 주인 찾기에 나섰다. 현실성이 크다는 이유로 쿠팡, GS그룹, 농협 등이 거론됐으나 이들 기업은 모두 손사래를 치고 있다.
당초 매각 측은 사전에 조건부 인수 계약을 체결한 인수 희망자를 설정한 후 공개 입찰을 여는 '스토킹호스' 방식을 검토했다. 그러나 주요 후보들의 불참으로 이 같은 계획을 포기한 뒤 일반 경쟁 입찰로 선회한 것으로 풀이된다.
업계에선 홈플러스 새 주인 찾기가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홈플러스의 청산 가치는 3조6816억원, 계속 기업 가치는 2조5059억원으로 평가됐다. 홈플러스를 인수하려면 청산 가치 이상을 제시해야 한다.
정치권에서 MBK의 홈플러스 점포 폐점을 막은 점도 매각 걸림돌로 예상된다. MBK는 당초 홈플러스는 68개 임대 점포 중 임대료 협상이 결렬된 15개 점포를 연내 폐점하기로 했다. 기업회생 절차에 돌입한 이후 협력업체의 납품 거부 등으로 점포 운영이 제대로 이어지지 못하며 적자만 쌓여가는 상황이었다. 이에 점포 폐점을 통해 수익성 개선에 나서려 했다.
하지만 더불어민주당과 당내 을지로위원회, MBK-홈플러스 사태 해결 태스크포스(TF)는 협의 끝에 "홈플러스 폐점은 단순히 점포 축소가 아니라, 수만 명의 일자리와 수천 개의 중소업체의 생계를 위협하는 중대 사안"이라며 원매자가 폐점을 결정해야 한다고 막아섰다. 홈플러스의 높은 몸값으로 통 매각이 쉽지 않은 상황에서 이뤄진 결정으로, 원매자에겐 부담으로 다가설 것으로 보인다.
한편, MBK는 원매자와 물밑 협상을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달 19일 김남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19일 서울 강서구 홈플러스 본사에서 김병주 MBK 회장과 비공개 면담을 마친 직후 기자들과 만나 "(김 회장은) 현재 유력한 협상자와 협상하고 있는데, 올해 11월 10일까지 끝내기로 했다고 한다"고 말했다.
김 회장이 '유력한 협상자'라는 표현을 썼다는 점에서 기업회생 가능성이 높아진 것 아니냐는 희망 섞인 나오고 있다. 김 회장이 콕 집은 11월10일은 M&A 추진 계획을 담은 회생계획안 제출 기한이다. 회생계획안 제출 기한이 당초 7월에서 9월로 넘어갔다 11월로 재차 미뤄진 것을 고려해 이번에는 기한 내 원매자를 찾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회생 절차 마감 기한은 내년 3월로 설정돼 있다. 이 시점까지 매각이 성사되지 않을 경우, 법원은 자산 분할 매각이나 청산 절차를 본격 검토할 수밖에 없다.
이를 위해 MBK는 현금 지원 등 매각 성사를 위한 총력전에 나섰다. 김 회장은 400억원 규모로 추정되는 개인 증여와 채무자의 DIP(기업회생 절차 개시 기업에 자금을 대출해 주는 구제금융) 대출에 대한 MBK 임원의 780억원 규모 원리금 연대보증 제공에 나섰다.
이어 MBK는 지난달 24일 대국민 사과문을 발표하며 2000억원의 추가 지원을 약속하고, 이로써 홈플러스에 총 5000억원을 지원하게 된다고 밝힌 바 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