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본 "민간 전문가도 지원 요청…대구 이전 28일까지 목표"

국정자원 화재 중대본 브리핑
인력·예산 투입해 복구에 속도
민원 온라인 창구 내일 열려

정부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현장에 민간을 포함한 인력을 추가 투입해 복구 시간 단축 '총력전'에 나선다. 인력, 신규 장비에 필요한 비용은 '선집행 후지급' 한다는 방침이다. 국정자원 대구센터 민관협력 클라우드에서 복원하는 시스템들은 오는 28일까지 가동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행정안전부 차관)은 2일 브리핑을 열고 "전반적으로 복구 속도가 더딘 이유 중 하나는 화재 영향이 적은 1~6 전산실 시스템의 경우에도 화재가 발생한 5층 7~8 전산실 시스템과 연계돼 운영된 것이 많았기 때문"이라며 "시스템의 빠른 복구를 위해 5층 전산실 복구에 속도를 올리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낮 12시 기준 시스템 장애가 있던 647개 시스템 중 112개 시스템이 복구됐다. 복구율은 17.3%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먼저 화재 피해를 입은 5층 7, 8 전산실 전원장치 수리 기간을 단축한다. 통상 1개월이 소요되는데 이를 열흘 안에 완료하기로 했다. 또 국정자원 대전 본원의 UPS, 배터리 등 기반 인프라를 교체하고, 7, 8 전산실의 손실된 서버·네트워크 등 장비를 구매해 재배치하고 있다.


현장·자문 인력도 충원했다. 김 1차장은 "전날 오후 대구센터 이전계획 수립 관련 전문가 자문회의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과 개최했고, 오늘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개최할 예정"이라며 "삼성SDS, LG CNS 등 민간 전문가에도 지원을 요청해 협조가 이뤄지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행안부 본부 우수인력, 5급 승진자 교육인력 등 20여명도 대전 현장에 투입됐다.

대구 민관협력 클라우드로 이전해 복원되는 시스템들은 28일 가동하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김 1차장은 "대구 센터 공간 임대는 지난달 30일 계약을 마쳤고, 이제 장비를 준비하는 데 2주, 시스템 시범가동과 안전성 검증, 시스템 개통에 2주를 잡아 현재는 28일까지 가동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김 1차장은 "신속한 복구를 위해 예비비 활용을 위한 절차에 착수했고 무엇보다 인력과 예산 집행이 즉각 이뤄지도록 조치했다"며 "현장에서 추가 복구인력 투입과 신규 장비 구매 관련 비용은 선집행 후지급하도록 했다"고 전했다.


정부는 우선 국민신문고 중단으로 멈췄던 지자체 온라인 민원상담을 내일(3일) 재개한다. 앞서 화재로 직접 피해를 본 7-1 전산실에 국민신문고 시스템이 포함돼 아직 복구되지 못했다. 김 1차장은 "2차 소비쿠폰 지급 문의 등 국민들이 필요한 민원 상담이 이뤄지도록 지방행정시스템 기능을 개선 중이며 내일부터 온라인 민원상담이 재개된다"고 했다.


백업을 하지 않아 소실된 공무원 내부 저장 클라우드 'G드라이브' 데이터는 개인 PC 캐시파일을 활용한 복구 방침이다. 이재용 국정자원 원장은 "G드라이브를 사용하더라도 개인 PC에서 작업하면 임시 파일, 캐시가 남아 있다"며 "캐시 파일을 활용해 복구할 수 있는 방법으로 한 달치 되는 자료를 복구하도록 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공무원 내부 업무망인 '온나라시스템'에도 자료가 저장돼 있는데, 이를 오는 6일까지 긴급 복구할 계획이다.


이번 사고 전 G드라이브 백업 체계를 미리 갖추지 못한 데 대해 이 원장은 "저희가 뼈저리게 잘못한 부분이라고 보고 있다"며 "지금 G드라이브 자체는 워낙 용량이 크고 기술적인 부분으로 인해 자체를 백업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기 때문에 새롭게 만들 때에는 저장할 때부터 그런 어려움이 없는 방식으로 구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추석 연휴 기간에도 중대본은 24시간 비상근무체계를 운영한다. 중대본 회의는 3일부터 격일 운영하고, 연휴 기간 중 중대본부장(행안부 장관)이 현장 점검을 통해 관계자를 격려하고 복구를 독려할 예정이다.





김영원 기자 forev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