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체감 물가' 고공행진, 달걀값 최대 상승폭

가공식품·축산물 가격 동반 인상…밥상 물가 압박
명절음식 준비 간소화, 밀키트 젊은 세대서 확산

국민 10명 중 7명이 올해 추석 '체감 물가'가 올른 것으로 답변했다. 달걀값이 3년 8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뛰는 등 가공식품과 축산물, 수산물 가격이 일제히 오르면서 밥상 물가가 가중되고 있다. 물가 부담이 커지면서 명절 음식 준비도 직접 조리보다는 간소화하는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추석 '체감 물가' 고공행진, 달걀값 최대 상승폭 원본보기 아이콘

6일 시장조사업체 피앰아이(PMI)가 전국 만 20~69세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 추석 연휴 인식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72.7%가 올해 추석 체감 물가가 올랐다고 답했다.

'작년보다 올랐다'는 응답이 47.8%로 가장 높았고, '매우 많이 올랐다'는 응답도 24.9%로 뒤를 이었다. 반면 '작년보다 내렸다'는 응답은 2.2%로 낮게 나타났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도 10.5%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특히 연령별로 60대는 '매우 많이 올랐다'가 31%로 평균보다 높게 나타난 반면 20대는 '잘 모르겠다'가 14.5%로 다른 세대보다 높아 세대별로 체감 명절 물가에 대한 차이를 보여줬다.


추석 '체감 물가' 고공행진, 달걀값 최대 상승폭 원본보기 아이콘

실제 명절 수요 등 영향으로 달걀값이 3년 8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오르는 등 가공식품과 축·수산물을 포함한 먹거리를 중심으로 높은 상승세가 지속됐다. 국가데이터처가 지난 2일 발표한 '9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 물가지수는 117.06(2020년=100)으로 1년 전보다 2.1% 올랐다.


가공식품 물가는 전달과 마찬가지로 4.2% 뛰며 전체 물가를 0.36%포인트(p) 끌어올렸다. 특히 빵(6.5%), 커피(15.6%) 등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가공식품 상승세로 공업제품 물가는 2.2% 상승하며 지난 1월 이후 8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축산물과 수산물도 각각 5.4%, 6.4% 오르며 물가 상승세를 견인했다. 국산 소고기(4.8%), 돼지고기(6.3%), 고등어(10.7%) 등은 전달보다 상승 폭은 줄었지만 여전히 전체 물가 상승률을 크게 웃돌았다. 특히 달걀은 추석을 앞두고 수요가 늘면서 전달(8.0%)보다 상승 폭(9.2%)이 커졌다. 2022년 1월(15.8%) 이후 최대 폭 상승이다.


체감 물가 부담이 커지면서 추석 명절 음식 준비도 간소화하는 경향이 짙어지는 모양새다. 명절 음식 준비 방식은 '직접 재료를 사서 조리한다'가 34.1%로 가장 많았고, '일부는 구매하고 일부는 조리한다'가 33.7%로 뒤를 이었다. 이어 '준비하지 않는다(21.8%)', '밀키트 활용(4.3%)', '전부 구매·배달(4.2%)' 순이었다.


세대별로는 20대의 23.5%, 30대는 24.5%만이 직접 조리한다고 답했지만 50대(41.5%)와 60대(50.5%)는 절반 가까이 직접 조리해 세대별 격차가 뚜렷했다. 또 밀키트 활용은 20대 8.0%, 50대 1.0%로, 간편식은 주로 젊은 세대에서 확산되는 모습이 나타났다.





구은모 기자 gooeunm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