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이슈]비트코인 신봉하는 '돈나무 언니'…회사명이 '방주'인 이유

비트코인 신뢰 캐시우드, 운용 ETF 반등
아크 인베스트 설립…"신의 계시로 창업"
'파괴적 혁신' 투자 강조…변동성은 유의

[기업&이슈]비트코인 신봉하는 '돈나무 언니'…회사명이 '방주'인 이유 원본보기 아이콘

국내 투자자들에게 일명 '돈나무 언니'라 불리는 캐시우드 아크 인베스트 최고경영자(CEO)의 아크 이노베이션 ETF(ARKK)가 최근 주가 반등세를 보이며 다시 주목받고 있다. 캐시우드 CEO가 비트코인에 강한 신뢰를 보이고 인공지능(AI) 관련 기술주에 공격적 투자를 재개하면서 기대감이 모인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전문가들은 그의 '파괴적 혁신'이란 투자원칙이 높은 수익률을 내기도 하지만 해마다 변동성이 매우 컸던만큼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비트코인 대세론 다시 불붙인 캐시우드…운용 ETF 가격 반등
[기업&이슈]비트코인 신봉하는 '돈나무 언니'…회사명이 '방주'인 이유 원본보기 아이콘

미국 나스닥 거래소에서 ARKK의 주가는 1일(현지시간) 86.92달러로 연초대비 52.78% 상승했다. 4월8일 기록한 연중 저점인 40.51달러 대비로는 2배 이상 급등했다. ARKK는 캐시우드 CEO가 이끄는 아크 인베스트의 핵심 투자펀드로 테슬라와 코인베이스, 팔란티어 등 기술주와 가상화폐 투자비중이 높게 설계돼 있다.


특히 캐시우드 CEO가 비트코인에 대한 신뢰를 보이며 가상화폐에 더 공격적인 투자를 예고하면서 ARKK에 대한 투자자들의 기대감도 커졌다. 그는 최근 가상화폐 관련 팟캐스트 방송에 출연해 "비트코인은 발행량이 제한된 규칙 기반의 화폐시스템으로 앞으로도 가상화폐 중 가장 큰 존재가 될 것"이라며 "우리의 공모펀드에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투자자산으로 들어가있다"고 강조했다.

그가 이끄는 아크 인베스트에서 중국 기술주인 전자상거래 업체 알리바바에 대한 투자를 재개한 것도 투심을 자극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아크 인베스트먼트는 지난달 말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서류를 통해 1630만달러(약 228억원) 규모 알리바바 미국 주식예탁증서(ADR)를 매수했다고 밝혔다. 아크 인베스트가 중국 빅테크 기업 투자를 재개한 것은 2021년 이후 4년 만이다.


블룸버그통신은 "아크 인베스트먼트의 이번 매수는 최근 알리바바의 주가 상승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이뤄진 것"이라며 "2021~2022년 중국 인터넷 기업들의 주가 폭락 이후 사실상 중단됐던 기술주 투자를 재개한다는 신호"라고 분석했다.

"신의 계시 받고 창업"…투자회사 이름도 '방주'로 지어
아크 인베스트 홈페이지

아크 인베스트 홈페이지

원본보기 아이콘

현재는 가상화폐와 기술주 투자의 큰손으로 불리는 아크 인베스트는 2014년 캐시우드 CEO가 얼라이언스번스타인을 갑자기 퇴사해 세운 투자기업이다. 그는 기존 투자운용사들보다 좀더 공격적인 '파괴적 혁신(Disruptive Innovation)' 투자의 중요성을 주장하며 아크 인베스트를 설립했으며, 이후 가상화폐와 AI 등 2010년대 당시에는 생소했던 신기술 분야에 집중 투자했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캐시우드 CEO는 2014년 여름에 갑자기 신의 계시를 받아 창업을 결심하게 됐다고 한다. 독실한 기독교도인 그는 회사명도 '아크(Ark)'라고 직접 붙였는데, 이는 구약성경 속에 나오는 방주를 뜻한다. 아크 인베스트는 대표 투자펀드인 ARKK 이외에 10여개의 펀드를 운용하고 있으며, 올해 상반기 기준 136억달러(약 19조원) 규모의 투자자산을 운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캐시우드가 현재처럼 큰 유명세를 타게 된 것은 코로나19 사태가 한창 진행되고 있던 2020년부터였다. ARKK가 2020년 152%라는 매우 높은 연중 수익률을 기록하면서 그가 주장한 '파괴적 혁신' 투자기법은 대세로 떠올랐다. 당시 ARKK는 전기차 대장주인 테슬라와 코로나19 당시 인기를 끌었던 화상회의 플랫폼인 줌(Zoom), TV 스트리밍 플랫폼인 로쿠 등에 집중 투자해 큰 수익을 올린 바 있다. 이후 그의 펀드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큰 관심사로 떠올랐고 미국의 젊은 투자자들을 중심으로 화제가 됐다.

파괴적 혁신 강조하는데…수익률 변동성 주의해야
로이터연합뉴스

로이터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전문가들은 아크 인베스트의 이른바 파괴적 혁신 투자 방식은 수익률 변동이 매우 큰 만큼 신중하게 접근해야한다고 조언한다. 아크 인베스트의 주요 투자자산인 가상화폐와 미국 빅테크 기술주 등이 모두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손실을 크게 볼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펀드 분석기업인 모닝스타의 분석결과 지난 10년간 ARKK의 수익률은 변동성이 매우 컸던 것으로 집계됐다. ARKK는 2020년 152% 수익률을 기록한 이후 2021년에는 -24%, 2022년에는 -67%로 손실이 발생했다. 이후 수익률은 2023년 67%를 기록했다가 지난해 8.4%에 그쳤다.


이로인해 아크 인베스트의 운용자산도 2021년 6월 537억달러(약 75조원) 규모로 정점을 찍은 이후 꾸준히 감소했다. 2022년 3월 239억달러로 반토막이 났고, 이후 계속 운용자산이 감소해 올해 1월 101억달러까지 줄어들었다.


에이미 아놋 모닝스타 애널리스트는 "아크 인베스트의 투자펀드들은 강세장인 상황에서도 자산을 잃었던 경험이 있다"며 "높았던 수익률 뿐만 아니라 위기관리 능력을 눈여겨 봐야한다"고 지적했다.





이현우 기자 knos8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