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주요 행정 전산을 관리하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이 사실상 '재난복구 사각지대'에 놓여 있던 것으로 드러났다. 최근 화재로 전소된 시스템 상당수가 서버 재난복구(DR) 체계 없이 운영돼 행정망 마비 사태를 불렀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1일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국정자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대전 본원에서 운영되는 647개 시스템 가운데 서버 DR이 적용된 것은 28개(4.3%), 스토리지 DR은 19개(2.9%)에 그쳤다. 특히 화재가 발생한 7-1 전산실에서 불에 탄 96개 시스템 중에는 서버 DR이 단 한 건도 적용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정부 전산망이 사실상 마비된 가운데 지난달 29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내 출입구에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모바일 출입증으로 출입 불가' 안내문이 붙어 있다. 2025.9.29 조용준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서버 DR은 장애 발생 시 별도의 예비 서버가 즉각 가동돼 서비스 전환이 가능하지만, 스토리지 DR은 데이터만 복제하는 방식이어서 복구에 추가 시간이 필요하다. 결국 핵심 시스템이 '즉각 복구 체계' 없이 운영돼 온 셈이다.
국정자원 측은 "공주센터를 중심으로 원격 백업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지만, 실제 원격 백업 대상은 352개에 불과했다. 전체 시스템 가운데 60% 이상 주요 시스템 데이터는 매일 온라인 백업을 하고 매월 말에는 오프라인 백업을 한다는 설명도 내놨지만, 현장에서는 데이터 유실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공무원 업무용 자료 저장소인 'G드라이브'가 이번 화재로 전소되면서 개별 저장된 자료가 모두 사라졌다. 이로 인해 74개 기관 19만1000여명 국가공무원이 개별적으로 저장해둔 업무자료가 모두 소실된 것으로 알려졌다. G드라이브는 대용량·저성능 스토리지 특성상 외부 백업이 불가능해 사실상 복구가 불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