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외의 승자?"…소비쿠폰 사용처 1위, 소고기 아니었다

햄버거 업종 상승률 1위

정부의 1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효과로 식음료·학원 등 생활 밀착형 업종의 결제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시내 한 시장에 소비쿠폰 관련 안내문이 부착되어 있다. 연합뉴스

서울 시내 한 시장에 소비쿠폰 관련 안내문이 부착되어 있다.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1일 실시간 앱·결제 데이터 기반 시장·경쟁사 분석 솔루션 와이즈앱·리테일이 발표한 리테일 브랜드 업종별 결제추정금액 상승률에 따르면 지난 7~8월 만 20세 이상 한국인이 신용카드, 체크카드, 계좌이체, 소액결제로 결제한 금액을 표본 조사한 결과, 전년 동기간 대비 결제추정금액 상승률 1위 업종은 햄버거(34.2%)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동기간 대비 결제추정금액 상승률 1위 업종은 햄버거(34.2%)인 것으로 나타났다. 게티이미지

전년 동기간 대비 결제추정금액 상승률 1위 업종은 햄버거(34.2%)인 것으로 나타났다. 게티이미지

원본보기 아이콘


이어 카페가 33.3% 증가했고, 학원(31.7%), 안경·렌즈(31.2%), 피자(27.1%) 순이었다. 외식·배달(19.5%), 제과·간식(17.5%), 편의점(8.3%), 영화관(6.7%)도 오름세를 보였다.


정부는 지난 7월 1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했다. 1차 지급에선 전체 대상자의 99%인 5008만명이 신청했으며 총 9조693억원이 지급됐다.


특정 업종에만 소비가 몰릴 수 있다는 우려도 있었지만, 실제로는 외식·간식뿐 아니라 학원, 안경·렌즈, 영화관 등 다양한 생활 분야에서 소비가 고르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외식·간식 등 소액 결제가 많은 생활 밀착형 업종에서 소비 증가세가 두드러진 모습이다. 특히 햄버거와 카페 업종은 전 연령대에서 고르게 이용되는 소비처인 만큼 정책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전년 동기간 대비 결제추정금액이 많이 상승한 소비쿠폰 업종. 와이즈앱·리테일

전년 동기간 대비 결제추정금액이 많이 상승한 소비쿠폰 업종. 와이즈앱·리테일

원본보기 아이콘

이번 조사는 각 업종에서 소비자 결제금액이 큰 주요 리테일 브랜드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와이즈앱·리테일은 "신용카드, 체크카드, 계좌이체, 휴대폰 소액결제 등 개인 결제 내역을 기반으로 해당 서비스에서 결제한 금액을 추정한 것"이라며 "법인카드나 기업 간 거래, 간편결제는 제외했다. 와이즈앱·리테일은 업종별 개별 기업의 실제 매출액과는 다르다"고 밝혔다.





윤슬기 기자 seul9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