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1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효과로 식음료·학원 등 생활 밀착형 업종의 결제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실시간 앱·결제 데이터 기반 시장·경쟁사 분석 솔루션 와이즈앱·리테일이 발표한 리테일 브랜드 업종별 결제추정금액 상승률에 따르면 지난 7~8월 만 20세 이상 한국인이 신용카드, 체크카드, 계좌이체, 소액결제로 결제한 금액을 표본 조사한 결과, 전년 동기간 대비 결제추정금액 상승률 1위 업종은 햄버거(34.2%)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카페가 33.3% 증가했고, 학원(31.7%), 안경·렌즈(31.2%), 피자(27.1%) 순이었다. 외식·배달(19.5%), 제과·간식(17.5%), 편의점(8.3%), 영화관(6.7%)도 오름세를 보였다.
정부는 지난 7월 1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했다. 1차 지급에선 전체 대상자의 99%인 5008만명이 신청했으며 총 9조693억원이 지급됐다.
특정 업종에만 소비가 몰릴 수 있다는 우려도 있었지만, 실제로는 외식·간식뿐 아니라 학원, 안경·렌즈, 영화관 등 다양한 생활 분야에서 소비가 고르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외식·간식 등 소액 결제가 많은 생활 밀착형 업종에서 소비 증가세가 두드러진 모습이다. 특히 햄버거와 카페 업종은 전 연령대에서 고르게 이용되는 소비처인 만큼 정책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조사는 각 업종에서 소비자 결제금액이 큰 주요 리테일 브랜드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와이즈앱·리테일은 "신용카드, 체크카드, 계좌이체, 휴대폰 소액결제 등 개인 결제 내역을 기반으로 해당 서비스에서 결제한 금액을 추정한 것"이라며 "법인카드나 기업 간 거래, 간편결제는 제외했다. 와이즈앱·리테일은 업종별 개별 기업의 실제 매출액과는 다르다"고 밝혔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