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오픈AI와 인프라 동맹…SK하이닉스 'HBM 공급'·SK텔레콤 '데이터센터 협력'

월 90만장 HBM 공급 체제 구축
서남권 '한국형 스타게이트' 시동
최태원 "AI 대전환 속 경쟁력 키울 것"

SK그룹이 챗GPT 개발사 오픈AI와 메모리 반도체 공급 및 국내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구축에 나서며 글로벌 AI 인프라 동맹을 본격화했다. SK하이닉스 는 초고대역폭메모리(HBM) 공급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고, SK텔레콤 은 '한국형 스타게이트'를 표방한 서남권 AI 데이터센터 공동 건설에 나선다.


SK 그룹은 1일 오픈AI와 손잡고 차세대 AI 인프라 혁신을 가속한다고 밝혔다. 최태원 회장과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서 만나 메모리 공급 의향서(LOI)와 AI 데이터센터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번 합의는 AI 반도체부터 데이터센터 설계·운영까지 전 주기에 걸친 포괄적 협력으로, 글로벌 AI 인프라 혁신을 선도하기 위한 출발점으로 평가된다.

SK그룹은 최태원 회장(왼쪽)과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 등 양사 경영진들이 1일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서 만나 메모리 공급 의향서와 서남권 AI 데이터센터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SK

SK그룹은 최태원 회장(왼쪽)과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 등 양사 경영진들이 1일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서 만나 메모리 공급 의향서와 서남권 AI 데이터센터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SK

원본보기 아이콘

SK하이닉스는 오픈AI와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의 핵심 파트너로 참여해 HBM 반도체 공급을 맡는다. 스타게이트는 오픈AI·오라클·소프트뱅크 등이 주도하는 4년간 700조원 규모의 글로벌 AI 데이터센터 구축 프로젝트다. 또 D램 웨이퍼 기준 월 최대 90만장 규모의 HBM 생산 체제를 확보해 폭증하는 AI 가속기 수요에 대응할 방침이다. 이는 올해 상반기 D램 글로벌 매출 1위를 기록한 기술력과 공급 역량을 인정받은 결과로, 세계 HBM 생산 능력의 두 배에 달하는 프로젝트 수요를 뒷받침할 핵심축이 될 전망이다.

SK텔레콤은 대규모 데이터센터 구축 경험을 토대로 서남권 지역에 오픈AI 전용 AI 데이터센터를 공동 건설한다. 이른바 '한국형 스타게이트'를 구현해 국내를 아시아 AI 데이터센터 허브로 육성한다는 구상이다. 양사는 데이터센터 기반으로 B2C·B2B AI 활용 사례를 발굴하고 차세대 컴퓨팅·데이터센터 솔루션 시범 운영에도 협력할 예정이다. 이는 울산에 착공한 SK AI 데이터센터와 함께 동서를 연결하는 'AI 벨트'를 형성해 국가 균형 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 회장은 "메모리 반도체부터 데이터센터까지 아우르는 SK의 역량을 집중해 글로벌 AI 인프라 혁신과 대한민국 국가 경쟁력 강화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올트먼 CEO는 "SK와의 협력을 통해 세계적 AI 생태계 확산을 앞당길 것"이라고 화답했다.


SK는 이번 파트너십을 한·미 AI 경제 동맹 강화의 계기로 삼고, 글로벌 빅테크와의 협업을 확대해 'K-AI' 구축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오지은 기자 jo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