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국무총리는 "정부가 추진하는 에너지 고속도로 구축은 단순한 송전선 건설을 넘어 국가 경제의 대동맥이자 미래 세대를 위한 성장 기반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총리는 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위원회' 1차 회의 모두발언에서 "전력망은 국민 생활을 지탱하는 핵심 인프라이자 국가 산업 경쟁력의 근간"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정부는 전력망 특별법에 따라 99개의 송전선로·변전소 구축 사업을 지정했다. 분야별로는 첨단 전략산업 전력공급(10개), 재생에너지 등 무탄소 전원 연계(73개), 송전선·변전소 구축(16개)으로 나뉜다. 사업 추진 과정에서는 인허가 특례와 주민지원 확대, 도로·전력망 사회간접자본(SOC) 공동 건설이 병행된다.
김 총리는 "재생에너지 전기를 전국 어디서나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길을 내고, 기업이 안심하고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라며 "나아가 반도체·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등 첨단 산업에 필요한 전력을 적시에 공급해 국가 경쟁력을 높이고 지역 균형 발전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정부는 아울러 2030년까지 초고압직류송전(HVDC) 기술 개발과 실증을 완료하고, 이후 수출 산업화에 돌입할 계획이다.
전력 당국은 가을철 전력 수요가 줄어드는 오는 11월 16일 경부하기까지 비상대응반을 운영하며 계통 안정화 대책도 병행한다.
이날 새로 출범한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위원회는 중앙정부와 광역지자체, 민간 전문가가 함께 참여하는 범정부 민관 협의체로, 기술 검토와 사회적 공감대 형성 등을 맡는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