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오후 서울 중구 더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AI 팩토리 M.AX 얼라이언스 전략 회의에서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앞줄 가운데)을 비롯해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LG엔솔, 삼성중공업 기업 및 기관 관계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출처:산업통상자원부)
원본보기 아이콘정부가 2030년까지 세계 최고의 제조 인공지능(AI) 강국을 목표로 'AI 팩토리 M.AX(Manufacturing.AX Alliance) 얼라이언스'를 본격 가동했다.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LG에너지솔루션, HD현대중공업 등 국내 주요 제조기업이 한자리에 모여 전략을 공유하고 선도 사업을 확대하기로 했다.
산업통상부는 1일 서울 더 플라자 호텔에서 'AI 팩토리 M.AX 얼라이언스 전략회의'를 열고 제조 혁신 성과와 향후 추진 전략을 발표했다.
현재까지 102개`에 이른 AI 팩토리 선도사업은 2030년까지 500개 이상으로 확대된다. 삼성전자는 고대역폭메모리(HBM) 검사 공정에 AI를 도입해 품질검사 정확도를 99% 이상 높이고 검사 시간을 25% 이상 단축할 계획이다. 현대자동차는 유연 생산에 적합한 AI 다기능 로봇팔을 개발해 생산성을 30% 이상 개선한다. HD현대중공업은 함정 정비 로봇을, 농심은 라면 공정에 AI 자율정비 시스템을 도입해 각각 효율성과 안전성을 높인다.
올해부터는 휴머노이드 로봇이 제조 현장에 본격 투입된다. 삼성디스플레이와 CJ대한통운에는 레인보우로보틱스가, HD현대미포와 삼성중공업에는 에이로봇이, LG전자와 SK에너지에는 각각 로브로스와 홀리데이로보틱스가 협력한다. 이들은 부품 교체, 물류 분류, 용접, 가전 조립, 석유화학 밸브 조작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예정이다. 정부는 2027년까지 100개 이상의 실증사업을 통해 데이터를 축적하고, 2028년부터 양산 체계를 구축한다.
AI 팩토리 M.AX 얼라이언스는 업종별 특화 제조 AI 모델 개발에도 들어간다. 윤병동 서울대 교수, 고영명 포항공과대(포스텍) 교수, 최재식 카이스트(KAIST) 교수 등 23명의 전문가가 참여하며, 초거대 AI 분야의 해외 석학도 함께한다. 확보된 제조 데이터를 기반으로 2028년까지 범용 모델을 완성해 기업 현장에 제공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개발 비용은 50%, 개발 기간은 40%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부는 내년부터 AI 팩토리 사업을 확장해 공장설계, 공급망 관리, 물류, AS까지 아우르는 완전 자율형 AI 공장으로 진화시킨다. 이 과정에서 '가상공장(Virtual Factory)'을 구현해 설비 고장, 자재 교체, 공급망 변동 등을 미리 시뮬레이션하고, 실시간 모니터링과 원격 제어에도 활용한다. 정부는 이를 기반으로 '다크팩토리' 기술을 확보해 2030년까지 제조 AI 플랜트 수출국으로 도약한다는 전략이다.
김정관 산업부 장관은 "AI 시대는 속도와의 전쟁"이라며 "AI 팩토리라는 배가 세계 1위라는 목적지까지 순항할 수 있도록 정책과 자원을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