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 한 번에 국가 전산시스템이 마비됐다. 지난 26일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로 정부 업무시스템 647개가 동시에 먹통이 됐다. 불에 탄 96개 시스템은 복구까지 2~3주가 소요될 전망이다. 공무 시스템은 물론 일반인과 기업으로 피해는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29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8시30분 기준 정부 업무시스템 647개 중 47개 시스템이 복구됐다. 국민이 많이 이용하는 정부24와 우체국 금융서비스를 비롯해 모바일신분증(발급 제외), 노인맞춤형 돌봄시스템, 119 다매체 신고시스템, 공직자통합메일시스템, 국정관리시스템 등이 복구를 마쳤다. 복구율은 7.3%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지원) 전산실 화재로 금융 전산망 마비 등 피해가 지속되고 있는 29일 서울의 한 시중은행에 관련 안내문이 부착돼 있다. 2025.09.29 윤동주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문제는 주말이 지난 오늘부터 민원 행정수요가 늘어나고 국민 불편이 확대될 수 있다는 점이다. 국민신문고, 국가법령정보센터, 공무원 내부 업무망인 온나라시스템 등 주요 서비스가 여기에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업무망 사용이 막히면서 공무원들에게는 연계 시스템, 공직메일 활용 등 대응 매뉴얼이 전달된 상황이다. 소비쿠폰도 국민신문고가 중단되며 '온라인 이의신청' 창구가 막혔다. 전국 화장시설 예약 서비스인 'e하늘장사정보시스템'도 접속이 제한돼 개별 화장장에 온라인이나 유선으로 직접 신청해야 한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 홈페이지도 중단돼 개인정보 침해·유출 신고를 이메일로 받고 있다.
기업들의 피해도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조달기업, 중앙부처·지방자치단체·공공기관들이 물품부터 건설공사, 서비스 등 모든 계약을 진행하는 '나라장터'가 먹통이다. 이날부터 예정된 입찰 또는 발주가 모두 멈춰 계약업무까지 차질이 예상된다.
전소된 96개 시스템은 복구 시도조차 못 하고 있다. 완전 복구까지는 한 달 가까이 소요될 전망이다. 96개 모두가 전소된 전산실 내 있었고 대구센터로 이전해 단순 시스템 재가동까지만 2~3주의 시간이 필요하다.
일각에선 96개 시스템의 세부 내용을 밝히지 않고 있는 정부 방침에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장기전으로 전환된 해당 시스템을 국민에게 공개해야 관계 기관 등이 미리 대비할 수 있다는 이유다. 이재명 대통령도 사고 직후 '정부 시스템 신속 복구와 투명한 현황 공개'를 지시한 바 있다.
윤호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은 이날 "96개 시스템은 바로 재가동이 쉽지 않다"면서 "이번 장애로 인해 국민 여러분께 큰 불편을 끼쳐드린 점 깊이 사과드린다"고 고개를 숙였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