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중단된 전산시스템 서비스 정상화 작업에 나섰다. 직접적인 피해가 없는 시스템부터 순차적으로 가동하며 서비스가 정상 작동하는지 점검할 방침이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7시 기준 국정자원 대전 분원의 네트워크 장비는 50% 이상, 핵심 보안장비는 767대 중 763대(99%)가 재가동됐다. 화재로 전소된 '무정전 전원 장치(UPS)'용 리튬이온 배터리 384개는 전날 오후 모두 현장에서 반출됐으며, 시스템 안정 운영에 필수적인 항온·항습기도 이날 새벽 5시30분 복구돼 정상 가동 중이다.
국정자원에는 총 647개의 정부 전산 시스템이 있으며 이 가운데 96개는 이번 화재로 직접적인 손해를 입었다. 나머지 551개는 화재 확산을 막기 위해 선제적으로 중단된 상태로, 행안부는 통신·보안 인프라가 안정되면 551개 시스템을 순차적으로 가동해 서비스 정상 여부를 확인할 계획이다.
김광용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정부는 책임 있는 태도로 최대한 신속하게 행정서비스를 복구 중"이라며 "복구 과정과 원인 규명을 투명하게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소방·경찰·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은 이날 오전 10시 30분부터 현장 감식을 진행하며 화재 원인 조사에 착수했다. 소방당국은 화재 발생 22시간 만인 전날(27일) 오후 6시에 완전 진화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