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손은 싫고, 새건 비싸고"…명절 선물도 중고거래 시대

중고 플랫폼서 거래 활발

직장인 박모씨(33)는 이번 추석 연휴 본가에 중고거래로 구매한 참치 선물세트를 들고 간다. 이번엔 6만원 수준인 정가보다 40%가량 저렴한 3만5000원에 구매했다. 박씨는 "부모님 집에 빈손으로 가긴 그렇고 물가는 계속 올라 부담을 느꼈다"면서 "선물세트가 필요 없는 누군가가 내놓은 중고 제품을 저렴하게 사서 합리적인 소비를 한 것 같은 느낌이 든다"고 말했다.


추석을 앞두고 중고거래 플랫폼에서 추석 선물이 거래되고 있는 모습. 당근

추석을 앞두고 중고거래 플랫폼에서 추석 선물이 거래되고 있는 모습. 당근

원본보기 아이콘

최근 고물가 현상이 지속되면서 속에 추석 선물을 중고로 거래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2일 중고거래 사이트 '중고나라'에 따르면 지난달 23일부터 30일까지 '추석 선물'이라는 키워드를 포함한 게시물은 620여건 등록됐다. 또 다른 중고거래 플랫폼 '당근'에는 정가 3만원인 생활용품 선물세트를 3분의 1 가격인 1만원에 판매한다는 글이 올라온 지 얼마 되지 않아 '예약'이라는 표시가 붙었다.


윤정엽씨(29)는 정가 5만원 상당의 추석 햄 선물세트를 중고거래를 통해 절반 가격으로 샀다. 추석 기간에 맞춰 충북 청주시 소재 부모님 집으로 부쳤다. 윤씨는 "회사에서 받은 선물세트를 필요 없는 사람이 싸게 판 것 같다"며 "지출 부담을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어서 만족스럽다"고 전했다.


일각에서는 품질 우려도 제기된다. 한 중고거래 사이트에는 갈비세트 등 냉장·냉동 식품을 판매한다는 글이 올라와 있었다. 이 같은 신선식품의 경우 구매자가 보관 상태를 정확히 확인할 수 없어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이모씨(30)는 "판매자가 선물세트를 어떻게 보관했는지 확인할 길이 없어 아무래도 고기나 과일류처럼 신선도가 중요한 식품은 꺼려지는 게 사실"이라고 했다.

김시월 건국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고물가 시대에 추석 선물세트를 중고로 거래하는 행위는 개인의 필요와 상황에 따른 합리적인 소비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며 "선물에 담긴 정성·의미 등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중고로 선물을 거래하는 것을 예의에 어긋난다고만 보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변선진 기자 s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