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혜경 여사는 24일(현지시간) 오전 뉴욕한국문화원을 방문해 문화원 내에서 열린 K푸드 현장간담회에 참석했다고 전은수 대통령실 부대변인이 25일 밝혔다.
뉴욕한국문화원은 전 세계 35개 문화원 중 가장 대표적인 명소 중 하나로 1979년 처음 문을 연 이래 뉴욕에서 한류 확산을 이끌어 왔다. 2024년에는 지하 2층, 지상 7층 규모의 단독 건물로 이전해 공연, 영화, 미술, 도서, 한식 등 다양한 문화예술 행사를 진행하는 한류 멀티플렉스로 자리매김했다.
김 여사는 이날 문화원 직원들을 격려하며 세계 문화예술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는 뉴욕에서 한국 문화의 독창성과 우수성을 알리기 위한 노력을 이어갈 것을 당부했다. 뉴욕한국문화원 1층에서 진행된 K푸드 현장간담회에서는 뉴욕에서 활동하는 한식 셰프, K푸드 테마관광 전문여행사, K푸드 유통 종사자 등 한식 관련 전문가들을 만나 한식 세계화의 현황과 전망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김 여사는 한식은 단순한 음식이 아니라 한국인의 삶과 정서를 담은 문화임을 강조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인의 문화인 한식을 알리는 데 기여하고 있는 각 분야 전문가들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했다.
한식당 최초로 미슐랭 스타를 받은 한식당 '단지(Danji)' 대표 김훈이 셰프는 "한식 역사를 공부하면서 맛있는 것은 당연하고, 무엇보다 한식의 진짜 힘은 음식으로 병을 고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특히 한국의 메주는 매우 강한 발효 유산균이다. 한국에서도 많은 관심을 가져주었으면 한다"는 바람을 전하기도 했다.
아시아전문 여행사 '리모트랜즈(Remote Lands)'의 공동대표 캐서린힐드는 "20년 전 아시아 여행을 위한 회사를 설립한 이후 10년간은 아무도 한국 여행 상품을 찾지 않았다"면서 "그러나 이제는 K-WAVE로 한국은 젊은 세대들에게까지 '쿨'한 여행지가 됐다"고 말했다. 미슐랭 1스타 한식당 '주아(Jua)' 대표 김호영 셰프는 "한식 세계화를 위해서는 프랑스의 르코르동블루, 일본의 츠지조리사전문학교, 이탈리아의 알마학교와 같이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 제공할 수 있는 한식 전문 교육기관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에 김 여사는 "한식이 미국에서 이렇게 인기가 많은지 뉴욕에 와서 코리아타운의 상점들을 둘러보고 실감했다"며 "10년 전 미국 학교에서 도시락 김밥은 놀림의 대상이었지만 지금은 인기가 엄청나다. 오늘 주신 의견들도 적극적으로 참고하여 전 세계에 한국 음식을 알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함께 해달라"고 당부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