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오르는 서울 아파트값…상승폭↑

부동산원,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

서울 대부분 지역에서 아파트값 오름폭이 커졌다. 앞서 6·27 대출 규제로 안정세를 찾는 듯했으나 시장에선 공급부족 우려가 한층 심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정부가 주택공급 대책을 내놨으나 '별다를 게 없다'는 인식이 번지면서 오히려 매수세를 부채질하는 모양새다.


한국부동산원이 25일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 자료를 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 상승률은 0.19%로 집계됐다. 직전 주 0.12% 대비 소폭 올랐다. 이달 들어 서울 아파트값 상승 폭은 3주 연속 확대됐다. 이 정도 상승 폭은 앞서 올해 7월 중순(14일 기준 0.19%)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구별로 보면 성동구 상승 폭이 0.59%로 가장 높다. 마포구(0.43%), 광진·송파구(0.35%), 강동구(0.31%), 용산구(0.28%)에서도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서울 내 25개 구 가운데 22곳에서 상승 폭이 한 주 전보다 높아졌다. 부동산원은 "재건축 추진 단지 및 대단지·역세권 등 선호 단지 위주로 매수 문의가 증가하고, 상승 거래가 포착되면서 서울 전역의 아파트값이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서울스카이에어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연합뉴스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서울스카이에어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앞서 서울시가 토지거래허가구역을 해제하면서 가파르게 오르던 서울 아파트값은 정부 대출규제 시행 후 완만한 상승세를 이어왔다. 그러다 이달 초 주택공급 확대 방안을 내놓은 이후 다시 오름세가 커지는 형국이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공공이 직접 시행하면서 주택공급 속도를 높이겠다는 계획을 내놨으나 시장의 공급 부족 우려를 불식시키기에는 부족했다는 평을 듣는다. 여기에 수요 억제를 위해 정부가 추가 규제를 언제든 내놓을 수 있다고 예고한 터라 시장에서는 일부 선호지역을 중심으로 더 늦기 전에 매수하려는 움직임이 거세진 것으로 본다.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아파트값은 0.07% 올랐다. 한 주 전보다 상승 폭이 커졌다. 지방은 0.0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셋값은 서울에서 상승 폭이 소폭 올라 0.09% 오르는 등 전국 기준으로 0.04% 상승했다.




최대열 기자 dy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