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말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이 0.57%로 7월 기준으로 7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기업대출과 가계대출 연체율이 모두 상승한 영향이 컸다.
26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5년 7월 말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 현황(잠정)'에 따르면 국내은행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기준)은 0.57%로 집계됐다. 이는 2018년 7월 0.56% 이후 7월 기준으로 7년 만에 최고치다. 전월 말(0.52%)보다 0.05%포인트 상승했고, 전년 동월 말(0.47%) 대비 0.10%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7월 중 신규 연체 발생액은 2조8000억원으로, 전월과 유사했다. 연체채권 정리규모는 1조6000억원으로 전월(5조7000억원)보다 4조1000억원 감소했다. 같은 기간 신규연체율은 0.11%로 전월(0.11%)과 비슷했다.
부문별로 기업대출 연체율은 0.67%로 전월 말(0.60%) 대비 0.07%포인트 올랐다. 대기업대출 연체율은 0.14%로 전월 말(0.14%)과 유사했다.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0.82%로 전월 말(0.74%)보다 0.08%포인트 상승했다. 중소법인 연체율은 0.90%로 전월 말(0.79%)보다 0.11%포인트 상승했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43%로 전월 말(0.41%) 대비 0.02%포인트 상승했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29%로 전월 말(0.30%) 대비 0.01%포인트 낮아졌고,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가계대출 연체율은 0.86%로 전월 말(0.78%) 대비 0.08%포인트 상승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향후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유지하도록 유도할 것"이라며 "최근 연체율 상승 폭이 크고 취약부문에 대한 대출비중이 큰 은행을 중심으로 부실채권 상매각, 충당금 확충 등을 통해 자산건전성 관리를 강화하도록 지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