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없던 병도 생기겠네"…㎏당 3만원에 팔리는 中 기괴한 전통약재

어릴 적부터 모은 손톱 약재로 팔아

중국의 한 여성이 어릴 적부터 잘라 모은 손톱을 전통의학 약재로 판매해 화제다. 가격은 1㎏당 150위안(약 3만원)으로 알려졌다.


23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중국 허베이성에 거주 중인 여성을 소개했다. 이 여성은 어린 시절부터 손톱을 버리지 않고 모으기 시작했다고 . 단순한 버릇이 아니었다. 전통 약재로 쓰기 위해 매번 모아둔 것이었다.

중국 전통의학에서는 손톱이 치료 성분으로 사용된다. 중국 전통의학에서는 사람의 손톱을 '진퇴(筋)'라 부르며, 몸 안의 열과 독성 물질을 제거하고 상처 회복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졌다. SCMP

중국 전통의학에서는 손톱이 치료 성분으로 사용된다. 중국 전통의학에서는 사람의 손톱을 '진퇴(筋)'라 부르며, 몸 안의 열과 독성 물질을 제거하고 상처 회복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졌다. SCMP

원본보기 아이콘

중국 전통의학에서는 손톱이 치료 성분으로 사용된다. 중국 전통의학에서는 사람의 손톱을 '진퇴'라 부르며 몸 안의 열과 독성 물질을 제거하고 상처 회복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졌다. 당나라 의사 손사막의 고서 '천금요방'에도 관련 처방이 등장한다. 고서에 따르면 부모들이 아이의 손톱을 태워 재로 만든 뒤 엄마의 가슴에 바르고 아이가 모유와 섞어 마시게 했다.


1960년대까지는 병원에서 처방하기도 했다. 하지만 비슷한 효능을 지닌 다른 재료들이 등장하면서 손톱 사용은 점차 줄어들었다. 손톱을 약재로 사용하는 것이 쉽지 않은 이유 중 하나는 구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성인이 1년 동안 자라나는 손톱의 양은 평균 100g에 불과하다. 그러나 2018년에 중국 특허 약품인 '후옌완'의 재료 중 하나로 사람의 손톱이 사용되면서 다시 주목받았다. 후옌완은 목의 염증 치료에 쓰이는 약으로, 오래된 중의학 처방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위생·출처 논란…"발톱 아니냐" 지적도
중국의 한 여성이 어릴 적부터 모은 손톱을 판매해 화제를 모으고 있다. 사진은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해 AI로 생성한 이미지. ChatGPT

중국의 한 여성이 어릴 적부터 모은 손톱을 판매해 화제를 모으고 있다. 사진은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해 AI로 생성한 이미지. ChatGPT

원본보기 아이콘

다만 손톱의 출처와 위생 문제에 대한 걱정도 나오고 있다. 일부 현지 누리꾼들은 "손톱은 오염물질이 많아 더럽다" "발톱도 섞여있을 것 같다" "없던 병도 생기겠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이와 관련 청두중의약대 리지민 교수는 "주로 의료 회사들이 학교와 마을에서 손톱을 매입하는데 이렇게 수집된 손톱은 철저하게 세척, 살균 과정을 거친 후 열처리 되고 분말로 만들어져 약재로 사용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한의학에서도 손톱을 약재로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다. 동의보감 등 고전 의서에 따르면 사람 손톱을 갈거나 태워 배앓이, 유아의 이상행동, 눈의 백태 제거, 산후, 지혈 등에 활용됐었다. 하지만 현재는 위생이나 윤리적 문제로 사용되지 않고 있다.





서지영 기자 zo2zo2zo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