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노후아파트 화재 등 올해 빈번히 발생했던 사고에 대비해 추석 연휴 기간 안전 관리 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행정안전부는 다음 달 3~9일을 추석 연휴 안전관리 특별대책기간으로 정하고 중앙부처 및 17개 시·도와 함께 '추석 연휴 안전관리 대책'을 시행한다고 24일 밝혔다. 정부는 지난 17일 김광용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주재 점검회의, 이날 김민석 국무총리 주재 '제4회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를 통해 대책을 확정했다.
먼저 중앙정부와 지자체는 연휴 기간 24시간 상황관리 체계를 유지하고, 재난 발생 시 즉각 범정부 대응에 나설 수 있도록 준비한다. 중앙재난안전상황실을 중심으로 각 기관이 일일 상황을 공유하고 대비 태세를 점검하기로 했다.
이번 연휴 기간은 예년보다 길어 교통량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도로·철도·항공 등 분야별 교통 안전관리를 강화한다. 다음 달 2~12일을 특별 교통대책 기간으로 정했다. 정부는 연휴 기간 전까지 ▲도로시설 ▲고속버스, 중대교통사고 발생업체 등의 사업용 차량 ▲철도 선로 작업환경 ▲항공기 관제 현장 등을 점검한다. 특히 도로 터널은 사고 발생 시 화재 등으로 2차 사고 발생 위험이 커 터널 내 환기, 소화, 피난 시설을 철저히 살핀다.
연휴 전후 급한 마무리 작업과 설비 재가동으로 인한 산업현장 사고 예방에도 나선다. 연휴 기간 비상상황 담당자를 지정하고, 긴급 상황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안전일터 신고센터', '사고감시 대응센터' 등을 운영한다. 또 연휴 전후 고위험 사업장을 대상으로 12대 안전수칙 준수 여부를 불시 점검하고 위험 요인은 즉각 개선하도록 유도한다.
전통시장 화재, 성묘·벌초로 인한 산불 등 연휴 기간 발생 위험이 높은 화재는 집중 관리할 방침이다. 특히 최근 잇따라 사상자가 발생했던 노후 공공주택 및 단독주택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 이를 대상으로 화재 안전관리를 강화한다.
치안 활동도 교통사고부터 가정폭력 등 관계성 범죄까지 폭넓게 대응한다. 명절 기간 급증하는 가족·연인 간 관계성 범죄, 주취 폭력, 강·절도에 대한 사전 모니터링을 강화한다. 주요 공항과 KTX 역에는 경찰 특공대를 배치하고, 축제·행사장은 특별점검에 나선다.
이 밖에도 해외 여행객 증가로 인한 감염병 확산 방지, 해상 안전사고 예방, 산불·호우 피해 이재민 관리 등 기관별 안전관리 대책도 함께 실시한다.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정부는 국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두고, 추석 연휴 기간 상황관리 체계를 촘촘하게 유지할 것"이라고 전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