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8월 일본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 수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7월 동일본 대지진설'과 일부 식당의 한국·중국인 출입 거부 논란 등 악재에도 불구하고 항공편 확대와 여름방학 특수로 관광 성장세를 이어가는 모습이다.
본격적인 여름 휴가철을 앞둔 25일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을 찾은 여행객들로 붐비고 있다. 인천공항공사는 여름철 성수기인 7월말부터 8월초까지 3주간 약 391만명이 인천공항을 이용할 것으로 내다봤다. 2025.7.25. 강진형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23일 일본정부관광국(JNTO)은 8월 일본을 찾은 외국인 방문객 수는 342만8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6.9%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8월 기준 역대 최대다.
국가별로는 중국이 36.5% 증가한 101만8600명으로 가장 많았다. 2위는 한국인으로 8.0% 증가한 66만900명을 기록했다. 이어 대만은 10% 증가한 62만700명, 홍콩은 8.3% 감소한 22만6100명, 미국은 11.7% 증가한 19만4500명 등 순이다.
JNTO는 한국인 관광객 증가와 관련 항공편 좌석 확대를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JNTO는 "동남아시아와 중국 등으로의 여행 수요가 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김포-주부(나고야) 노선 증편과 청주-고베 전세기 운항 등 항공편 좌석 확대와 여름방학 효과로 8월 한국인 방일 여행객 수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일본 관광 산업은 여러 악재에도 불구하고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올해 초부터 일본에서 7월 대지진설이 퍼지면서 관광 수요가 위축됐는데 홍콩의 한 항공사는 탑승객 급감과 실적 악화를 이유로 홍콩과 일본 소도시 2곳을 잇는 정기 노선 운항을 일시 중단하기도 했다.
또 일본 내 일부 식당에서는 한국인과 중국인의 출입을 공개적으로 거부하는 사례가 발생해 논란이 일었다. 지난 5월 오사카의 한 레스토랑은 출입문에 "중국인 손님은 무례하기 때문에 받지 않는다"는 쪽지를 붙였고, 지난해 7월 도쿄 신주쿠 오쿠보의 한 이탈리안 식당은 "다양성과 관용의 시대지만 억지로 싫은 생각을 하면서 일할 수는 없다. 따라서 한국인, 중국인은 받지 않는다"는 안내문을 내걸었다.
SCMP는 이러한 차별 조치에 대해 "일부 민족주의 성향을 지닌 이들의 지지를 얻기 위한 행위"라며 일본 내에서 '오버투어리즘'(과잉 관광)에 대한 불만과 일부 외국인 관광객의 몰지각한 행동에 대한 반발이 겹치면서 확산했다고 분석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