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생각해 일부러 싱겁게 먹었는데" 지나친 저염식 '과유불급'

삼성서울병원, 급성 신손상 회복기 식단 분석
"저염·저단백·저지방 식단, 신장 섬유화 부추길 수도"

'저염=건강'이라는 공식을 깨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신장 기능이 악화한 사람이 과도하게 염분 섭취를 제한하면 오히려 회복을 늦추고 손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지적이다.


신장 기능이 악화한 사람이 과도하게 염분 섭취를 제한하면 오히려 신장 회복에 방해가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게티이미지

신장 기능이 악화한 사람이 과도하게 염분 섭취를 제한하면 오히려 신장 회복에 방해가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게티이미지

원본보기 아이콘

23일 삼성서울병원은 신장내과 장혜련·전준석·이경호 교수 연구팀이 최근 허혈성 급성 신장 손상 후 회복기의 식이 조절과 회복 연관성에 관한 논문을 학술지 '세포 및 발달 생물학 프런티어스'에 발표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신장이 손상된 생쥐를 대상으로 고염식과 저염식, 고단백식과 저단백식, 고지방식과 저지방식 등 다양한 회복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했다.


저염식, 염증 반응 유발·섬유화 악화

분석 결과, 지속적인 저염식은 기존 통념과 달리 염증 반응을 촉진하고 신장 섬유화를 악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염증성 신호 물질인 TGF-β가 과도하게 활성화되면서 신장 회복을 방해하는 환경이 만들어진 것이다.


고염·고단백·고지방 식이도 악영향을 주기는 마찬가지였다. 세포실험(HK2)에서 고염·고단백에 노출될 경우 신장 세포의 증식 억제가 확인됐다. 특히 고염식을 섭취한 군은 신세관 손상이 심각했고, 섬유화가 급격히 진행됐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연구팀 "맞춤형 식단 필요"

연구팀은 "만성 신장질환 환자에게 흔히 권장되는 저염·저단백 식단이 급성 손상 후 회복기에는 되레 해로울 수 있다"고 지적했다. 장 교수는 "식이요법은 환자가 직접 조절할 수 있는 비약물 치료 전략"이라며 "회복기의 신장 상태에 맞춘 정밀한 영양 설계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전 교수는 "이번 연구는 맞춤형 식이 가이드라인 마련을 위한 과학적 근거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가 급성 신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한 결과라는 점에서, 일반인에게는 여전히 저염식이 권장된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성인의 하루 나트륨 섭취 권장량을 2000mg(소금 약 5g)으로 제시한다. 평소 나트륨 함량이 높은 염장식품, 인스턴트식품 등은 가급적 멀리하는 게 좋다. 염도를 조절하기 어려운 배달 음식, 외식도 횟수를 정해두고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국·탕류는 국물보다 건더기를 중심으로 먹고, 과일과 채소를 자주 섭취하면 도움이 된다. 식물성 식품에 풍부한 칼륨은 체내 나트륨 배출을 촉진하고 노폐물 제거를 돕는다. 짜게 먹은 날에는 칼륨이 많은 과일·우유를 챙기고, 충분한 수분 섭취로 혈중 나트륨 농도를 낮추는 것이 좋다.





서지영 기자 zo2zo2zo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