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한국 호랑이를 멸종시켰다", "위안부 대부분은 10대 소녀였다", "일본은 아직까지도 한국에 사과하지 않았다"
최근 틱톡에서는 일본의 전쟁 범죄와 일제강점기 만행을 규탄하는 댓글이 폭발 중이다. 출발점은 뜻밖에도 전 세계적인 흥행을 기록한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이하 케데헌)이었다. 일본 제작사 소니 픽처스가 참여한 작품이 아이러니하게도 일본의 과거를 다시 소환하는 계기가 된 셈이다.
한 해외 틱톡커는 최근 케데헌 속 호랑이 캐릭터 '더피'에 매료돼 한국 호랑이를 검색하다가, 일제강점기 일본이 호랑이를 '해수(害獸)'라 규정하고 조직적으로 사냥해 결국 멸종시켰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그는 이 내용을 영상으로 공유했고, 단숨에 좋아요 18만 개, 조회 수 120만 회를 기록하며 전 세계로 퍼져나갔다.
영상에는 "케데헌을 보다가 한국 호랑이 역사를 찾아봤는데 일본이 지난 세기에 한반도 호랑이를 모두 사냥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는 내레이션과 함께 "이 장면에서 나와 남자친구가 완전히 슬퍼졌다"는 고백도 담겼다.
실제로 일본은 1917년 '정호군(征虎軍)'을 조직해 한반도 호랑이 토벌에 나섰다. 사냥꾼들은 함경북도·강원도 등지에서 대대적인 포획을 벌였고, 1920년대 이후 한반도 야생 호랑이는 자취를 감췄다. 이는 단순한 생태계 훼손이 아니라, 민족의 상징을 제거하려는 식민 통치 전략이었다.
해당 영상 댓글 창에는 2000여 개가 달리며 일본의 과거사가 줄줄이 소환됐다. 해외 누리꾼들은 "일본은 전쟁 범죄를 역사책에 포함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일본인은 자국의 잔혹 행위를 모른다" "일본은 아직까지도 사과하지 않았다" "한국이 너무 불쌍하다" "일본은 너무 많은 전쟁 범죄를 저질렀다. 정말 잔인하고 끔찍하다"고 비판했다.
또 "대부분 위안부는 11세에서 19세, 평균 14세였다"는 구체적 지적과 "한국의 마지막 공주에게 일본인과의 결혼을 강요해 주권 계통을 훼손했다"는 역사적 사실도 공유됐다. 한 누리꾼은 "일본의 역사는 아름답지 않지만 지난 수십 년간 리브랜딩에만 열중해왔다"고 꼬집었다. 국내 누리꾼들 역시 "케데헌이 그 누구도 못 했던 일을 해냈다" "케데헌이 일본 만행을 세계에 알렸다" "문화의 힘이 대단하다" "살다 보니 이런 날도 온다" "전 세계가 진실을 알아야 한다" "이제는 부디 사과하라" 등의 반응을 보였다.
동시에 "일본 자본인 소니가 제작에 참여했다는 점이 아이러니하다"는 반응도 나왔다. 지난 6월20일 넷플릭스에 공개된 케데헌은 전 세계 스트리밍 기록을 새로 쓰며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한국 K-팝과 신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이 작품은 일본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과 소니 픽처스 이미지웍스가 공동 제작에 참여했다. 한국적인 스토리를 일본 회사가 함께 만든 셈인데, 그 결과물이 아이러니하게도 일본의 과거 만행을 다시 환기하는 계기가 된 것이다.
중국에서도 일본 과거사를 정면으로 고발하는 콘텐츠가 주목받고 있다. 최근 개봉한 영화 731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 731부대가 자행한 생체실험 만행을 다뤘다. 이 영화는 개봉 첫날 3억 위안(약 585억 원)을 벌어들이며 중국 영화 사상 최고 기록을 세웠다. 만주사변 발발일(9월18일)에 맞춰 공개된 이 작품은 3000명 이상의 중국인, 한국인, 러시아인이 희생된 사실을 토대로 제작됐다. 중국 관객들은 오성홍기를 흔들며 영화를 관람했고, "일본인들은 너무 잔인하다. 용서할 수 없다"는 목소리를 높였다.
일본 아사히신문은 "영화가 시작되자 눈물을 훔치는 관객이 있었다"며 "남편과 함께 영화를 본 40대 여성은 '일본인들은 너무 잔인하다. 용서할 수 없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또 다른 관객은 "중국인이라면 일본에 가서는 안 된다. 이 역사를 기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중국 내 반일 정서가 고조되면서 일본 교민 사회는 불안에 떨고 있다. 주중 일본대사관은 교민들에게 외출 시 일본어 사용과 일본식 복장을 피하라고 권고했고, 베이징·상하이·쑤저우 등 일본인 학교는 개봉일에 등교를 중단하고 온라인 수업으로 전환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현상을 "문화 콘텐츠가 전 세계에 역사를 알리는 힘을 보여준 사례"라고 평가한다. 영화와 애니메이션처럼 대중에게 친숙한 형식이 역사와 문화를 자연스럽게 확산시키는 매개체가 되고 있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흐름을 전략적으로 활용한다면 역사 인식을 높이고 국제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본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