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상병 사건 외압·은폐 의혹을 수사하는 이명현 순직해병 특별검사팀이 의혹의 핵심 인물인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을 23일 피의자 신분으로 첫 소환 했다. 이 전 장관을 피의자로 소환한 것은 특검팀이 수사를 개시한 지 83일 만이다.
이날 오전 9시 53분께 서울 서초구 특검사무실에 도착한 이 전 장관은 '윤석열 전 대통령 격노가 없었어도 초동 조사 결재를 번복했을지', '부하들에게 부당한 명령을 내렸다고 생각하지는 않는지' 등 질문에 "성실히 조사받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이 전 장관은 2023년 7월 채상병 순직 당시 국방장관이었고, 윤 전 대통령과의 통화 직후 해병대 수사단의 초동조사 결재를 번복한 사실이 드러나 'VIP 격노설'과 수사외압 의혹을 규명하기 위한 핵심 인물로 지목돼 왔다. 이 전 장관은 이미 지난 7월 특검팀에 의견서를 통해 'VIP 격노' 회의 직후 윤 전 대통령에게 채상병 사건 관련 전화를 받은 사실을 시인했다.
애초 이 전 장관은 채상병 사건 수사 외압 의혹의 핵심 피의자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수사선상에 올랐었다. 하지만 윤 전 대통령이 이 전 장관을 호주대사로 임명하면서 사실상 '도피성 출국' 시켰다.
이 전 장관은 지난 17일 '호주 도피' 의혹의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돼 조사받으면서 윤 전 대통령이 먼저 대사나 특사를 제안했다는 취지로 진술했다. 특검팀은 도피 당사자인 이 전 장관에게 범인도피죄를 적용할 수 없는 만큼, 해당 의혹과 관련해선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했다.
아울러 특검팀은 이날 이 전 장관의 도피성 출국 의혹을 수사하기 위해 박진 전 외교부 장관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했다. 이날 오전 10시 44분께 특검팀 사무실에 도착한 박 전 장관은 "아는 대로 성실하게 답변하겠다"고 말했다. 박 전 장관은 지난해 1월까지 외교부 장관직을 수행했다. 특검팀은 박 전 장관을 상대로 호주대사 임명을 결정하고 인사 검증하는 과정에서 보고받거나 지시한 사항을 집중적으로 추궁할 것으로 보인다.
또 특검팀은 이날 이노공 전 법무부 차관을 범인도피·직권남용 혐의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하고 있다. 이날 오전 10시 28분께 출석한 이 전 차관은 '이 전 장관에게 출국금지 해제 서류를 전달한 이유가 무엇인지', '이 전 장관이 출국금지 이의신청 방법을 물어봤는지' 등 질문에 "이미 언론에 밝힌 적 있다. 성실히 조사받겠다"고 답했다. 특검팀은 지난해 1월 사직한 이 전 차관이 그해 3월 메신저로 이 전 장관에게 출국금지 해제 신청서 양식을 보낸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