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국내 주요 연구기관장을 만나 생산적 금융을 위해서 금융권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 달라고 당부했다.
금융감독원은 이 원장이 2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금융연구원, 자본시장연구원 등 국내 7개 연구기관장과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간담회에서 "현재 한국 경제가 저성장 고착화에 직면하고 있어 진짜 성장을 위한 금융의 적극적 역할이 필요한 시기"라며 "금융권이 생산성이 높은 부문을 선별해 자금을 공급하는 경제 혈맥이 되는 동시에 고령화에 따른 사회·경제 문제를 해결하는 데 보탬이 돼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금감원은 은행, 금투, 보험 등의 고유한 투자위험 선호도와 감수 능력에 맞춰 부동산에 쏠린 자금이 혁신성장 부문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금융권과 소통하고 관련 제도를 개선할 것"이라며 "금융권도 이에 맞춰 안정성 위주의 영업 관행에서 벗어나 기업의 성장 단계별 위험을 관리하며 충분한 자금을 적시에 공급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금융권은 고령화로 변화하는 금융 수요를 소비·투자·복지와 연결하면서 성장과 후생을 높일 수 있어야 한다"며 "이를 위해 금융권은 부동산에 묶여있는 고령층 자금을 다양한 연금·신탁상품으로 유동화해 소비 또는 투자로 연결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마지막으로 "연구기관도 한국 경제·금융의 싱크탱크로서 장기적인 안목으로 금융권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이항용 금융연구원장은 "인구구조 변화뿐 아니라 기후변화, 지방소멸 등과 관련해 금융회사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며 "인구감소 등을 고려하면 장기적으로 부동산 중심 금융은 지속 가능하지 않으며 금융회사의 경쟁력과 건전성에도 부정적일 수 있다"고 진단했다.
김세완 자본시장연구원장은 "우리 경제의 성장동력 확충과 주식시장의 코리아 프리미엄 실현을 위해 기업지배구조 개선, 기업법제 선진화 등 자본시장 혁신이 중요하다"며 "모험 자본 생태계 확대와 벤처·스타트업 등 혁신기업에 대한 자금 지원 강화를 통해 성장 동력을 확충하고 글로벌 첨단기술 경쟁력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