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호텔 결혼" 알렸는데 갑자기 '예약취소'…주진우 "자유민주주의서 가능?"

APEC 정상회의와 관련있는 듯
주진우 "정부, 호텔 압박해 결혼식 취소"
"자유민주주의 국가에서 있을 수 없는 일”

서울 신라호텔이 국가 행사를 이유로 오는 11월 초 예정된 일부 결혼식 일정을 일방적으로 취소 통보해 논란이 일고 있다. 최소 1년 전부터 준비해 온 예비부부들은 갑작스러운 통보에 혼란을 겪고 있으며 정치권에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두 달 앞둔 예식, 하루아침에 취소 통보
서울신라호텔 영빈관. 신라호텔 웨딩 인스타그램

서울신라호텔 영빈관. 신라호텔 웨딩 인스타그램

원본보기 아이콘

22일 업계에 따르면 서울 신라호텔은 최근 11월 결혼 예정인 일부 고객들에게 "11월 초 국가 행사가 예정돼 있어 부득이하게 예약 변경 안내를 드리고 있다"며 예식 일정 취소 사실을 통보했다. 사전 계약서에 '정부 행사에 의한 일정이 생길 경우 취소가 될 수 있다'는 내용이 담겨 별다른 보상이나 위약금 지급은 없으나, 도의적인 차원에서 개별 협의를 진행 중이라는 게 호텔신라 측 설명이다.

호텔신라 측은 결혼식 취소의 이유로 언급한 국가 행사가 무엇인지, 국가 행사 때문에 취소된 결혼식 건수가 몇 건인지는 밝힐 수 없다고 했다. 다만 오는 10월 말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관련 조치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이번 APEC 정상회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등이 방한할 예정이다. 우리 정부는 APEC 행사 전후로 한미·한중 정상회담 개최를 추진 중인데 서울에서 열릴 가능성이 높다. 이 때문에 현재 미국과 중국 측은 서울에도 숙소를 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스드메까지 다 바꿔야"…예비부부 발 동동
서울신라호텔 영빈관. 신라호텔 웨딩 인스타그램

서울신라호텔 영빈관. 신라호텔 웨딩 인스타그램

원본보기 아이콘

결혼식 두달을 앞두고 일방적으로 예식 일정이 취소된 예비 신혼부부들은 당황스러운 모양새다. 이미 청첩장을 지인들에게 돌린 상황이고, 새로운 예식장을 찾기도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결혼 준비는 통상 1년 전부터 시작하는데, 인기가 많은 예식장의 경우 2년 전부터 예약을 잡기도 한다. 서울 중구에 위치한 신라호텔 역시 최소 1년 전에는 예약을 확정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결혼식 날짜를 변경하면 신혼여행 항공편과 숙박 예약은 물론이고 스튜디오·드레스·메이크업, 이른바 '스드메' 예약까지 변경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위약금이 발생할 수도 있어 예비 신혼부부들 일정에 큰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보인다. 한 예비 신부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인륜지대사인 결혼식이 11월2일로 예정돼 있었는데 호텔 측으로부터 예식 취소에 대한 갑작스러운 연락을 받게 됐다"며 "예식이 불과 50일도 남지 않은 시점에 소식을 접하게 돼 경황이 없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국가 행사" 구체 내용은 비공개…APEC 정상회의 추정
서울신라호텔 영빈관. 신라호텔 웨딩 인스타그램

서울신라호텔 영빈관. 신라호텔 웨딩 인스타그램

원본보기 아이콘

호텔신라 측은 결혼식 취소의 이유로 언급한 국가 행사가 무엇인지, 국가 행사 때문에 취소된 결혼식 건수가 몇 건인지는 밝힐 수 없다고 했다. 다만 오는 10월 말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관련 조치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이번 APEC 정상회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등이 방한할 예정이다. 우리 정부는 APEC 행사 전후로 한미·한중 정상회담 개최를 추진 중인데 서울에서 열릴 가능성이 높다. 이 때문에 현재 미국과 중국 측은 서울에도 숙소를 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주진우 "자유민주주의서 있을 수 없는 일" 비판

이를 두고 국민의힘 주진우 의원은 자신의 SNS에 "정부가 호텔을 압박해 1년 전 예약된 결혼식을 취소시키다니 자유민주주의 국가에서 있을 수 없는 일이 일어났다"며 "제 자식 귀하면 남의 자식도 귀히 여길 줄 알아야 한다"고 비판했다. 주 의원은 "대통령 아들은 삐까뻔쩍하게 결혼시켜 하객이 인산인해를 이뤘다. 힘없는 국민은 정부가 한마디 하면 잡아뒀던 예식장도 정부에 헌납해야 하느냐"며 "국제 행사가 아무리 중해도, 국민의 행복과 권리를 침범할 순 없다. 국민께 사과하고 바로 잡으라"고 덧붙였다.





서지영 기자 zo2zo2zo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