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 "美 3500억달러 투자 요구 수용 땐 1997년 같은 금융위기"

로이터 통신 인터뷰
"혈맹으로 최소한의 합리성 유지될 것"
무역 합의로 "불안정한 상황 빨리 끝내야"

이재명 대통령은 미국이 요구하는 35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펀드 조건이 한국 경제에 심각한 금융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이 대통령은 지난 19일 대통령 집무실에서 진행돼 21일(현지시간) 공개된 로이터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한미 통화 스와프 없이 미국이 요구하는 방식대로 3500억달러를 인출해 현금으로 투자한다면 한국은 1997년 외환위기와 같은 상황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은 현재 일본과 유사한 무역 합의 수용을 한국에 요구하고 있다. 일본은 55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펀드와 관련해 투자 대상 선정 권한을 미국에 넘기고 수익을 미국이 90%, 일본이 10%로 나누는 조건을 받아들였다. 한미 양국은 지난 7월 무역 합의를 도출했지만, 3500억달러 규모 대미 투자 펀드의 이행 방식을 놓고 이견을 보이며 최종 협상을 마무리하지 못하고 있다.


이 대통령은 한국과 일본의 차이를 강조하며 일본은 한국 외환보유액 4100억달러의 두 배 이상을 보유하고 있고, 국제 통화인 엔화와 미국 달러와의 통화 스와프 라인을 갖추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또 "상업적 합리성을 보장하는 세부 합의에 도달하는 게 현재 가장 중요한 과제이자 최대 장애물"이라며 "실무 협상에서 제시된 방안들이 상업적 실행 가능성을 담보하지 못해 간극을 좁히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혈맹 관계에 있는 동맹국 사이에 최소한의 합리성이 유지될 것이라 믿는다"며 "이 불안정한 상황을 가능한 한 빨리 종식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미국 이민 당국이 조지아주의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공장을 급습해 수백 명의 한국인 직원을 체포·구금한 사건과 관련해, 이 대통령은 기업들이 미국 투자에 신중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다만 그는 "이번 사건이 의도적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며 "미국은 이번 사안에 대해 사과했고 합리적인 대책을 모색하기로 합의했으며 현재 이를 추진 중"이라고 말해 한미 관계에 미칠 부정적 영향을 일축했다.


이번 인터뷰는 이 대통령이 취임 후 처음으로 유엔(UN) 총회에 참석하기 위해 22일 뉴욕으로 출국하기 직전에 공개됐다. 그는 23일 기조연설을 할 예정이며, 한국 정상으로는 최초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공개 토의를 주재할 계획이다.


이 대통령은 이번 방미 일정에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의 회담이나 무역 합의 관련 논의는 포함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다만 지난달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첫 정상회담을 했으며, 공동성명이나 구체적 발표는 없었지만 두 정상이 강한 개인적 유대감을 형성했다고 평가했다.





뉴욕=권해영 특파원 rogueh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