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는 21일 미국 정부가 H-1B 비자 수수료를 대폭 증액 행보에 구체적인 내용과 영향을 파악하고 있다며 미국과 소통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19일(현지시간) H-1B 비자 수수료를 현 1000달러(약 140만원)의 100배인 10만달러로 올리는 내용의 포고문에 서명했다.
미국의 강경한 비자 정책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한국인 구금사태를 계기로 진행될 한미 간 비자제도 개선 협의도 쉽지 않으리라는 우려가 나온다. 그러나 한미 협의의 우선순위가 단기 파견 인력의 상용 비자 개선에 집중될 것으로 예상돼 큰 어려움은 없으리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정부는 한국인 전문인력 대상 비자(E-4) 쿼터 신설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고학력 전문직 직종에 더해 숙련공까지 포함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었는데, 장기적으로 추진할 입법 사항이다.
'전문직 비자'로 불리는 H-1B 비자는 과학·기술·공학·수학(STEM) 분야의 전문 직종에 적용되는 비자다. 추첨을 통한 연간 발급 건수가 8만5000건으로 제한돼 있고 애초 한국인 비중도 작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