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학년도 대입 수시모집에서 지방대 지원자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침체와 취업난 여파로 지방권 학생들이 서울·수도권 대학보다는 집 근처 대학을 선호하는 현상이 두드러진 결과로 분석된다.
21일 종로학원이 전국 192개 대학의 수시 지원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방권 대학 지원자는 10만4272명(10.2%) 증가해 총 112만4901명에 달했다. 권역별 증가율은 대구·경북(12.4%), 강원(11.7%), 충청(10.6%), 전라(9.8%), 부산·울산·경남(8.0%), 제주(7.8%) 순으로 나타났다. 지방권 110개 대학 중 지원자가 줄어든 곳은 16곳에 불과했다.
반면 서울권 42개 대학 중 20곳, 경인권 40개 대학 중 17곳은 지원자가 감소했다. 전국 대학 평균 경쟁률은 9.77대 1로 집계됐다. 권역별 경쟁률은 서울권 18.83대 1, 경인권 13.02대 1, 지방권 6.49대 1이었다. 다만 지방권 대학 중 경쟁률 6대 1 미만인 곳은 지난해 68개에서 올해 53개로 줄며, 지원자 증가가 경쟁률 상승으로 이어졌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경기 불황과 입시 불확실성 확대로 지방권 학생들이 무리하게 수도권 대학에 진학하기보다 안정적으로 지방대에 지원하는 경향이 강해졌다"고 분석했다. 특히 의대 정원 축소와 사회탐구영역 경쟁(사탐런) 등 입시 변수도 안정 지원을 부추긴 요인으로 꼽힌다.
지방권에서 가장 높은 경쟁률을 기록한 대학은 경북대로 14.51대 1이었다. 이어 단국대 천안캠퍼스(11.11대 1), 충북대(10.91대 1), 건국대 글로컬캠퍼스(10.59대 1), 연세대 미래캠퍼스(10.48대 1), 부산대(10.13대 1)가 10대 1 이상의 경쟁률을 보였다.
전국에서 최고 경쟁률을 기록한 곳은 성균관대로 평균 32.49대 1이었다. 자연계열 최고 경쟁률은 아주대 약학과 논술우수자 전형의 708.20대 1, 인문계열은 국민대 경영학부 경영학전공 논술전형 321.6대 1로 집계됐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