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의회서 한국인 전문직 취업비자 신설 법안 발의

미국 이민당국이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공장을 급습해 한국인 300여명을 체포·구금한 사태와 관련해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전문직 취업비자를 신설하는 법안이 미국 의회에서 추가 발의됐다.


톰 수오지 하원의원은 19일(현지시각) 뉴욕시 퀸스 더글러스턴의 지역구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E-3' 전문직 비자 쿼터에 한국을 추가하는 내용의 법안을 재발의했다고 밝혔다.

미국 조지아 주에 있는 현대자동차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서 단속 당하는 근로자들. 연합뉴스

미국 조지아 주에 있는 현대자동차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서 단속 당하는 근로자들.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새 법안은 호주 국적 전문직을 위해 마련된 E-3 비자에 한국 국적자를 추가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수오지 의원은 지난해에도 같은 내용을 담은 법안을 연방 하원에 발의했지만 진전을 보이지 못한 채 폐기된 바 있다.

수오지 의원은 회견에서 "우리 모두 얼마 전 조지아주에서 일어난 현대차-LG엔솔 공장에 대한 급습 소식을 들었다"며 "이는 미국이 좋은 친구를 어떻게 대하는지를 시각적으로 매우 끔찍한 장면으로 보여줬다"라고 법안을 재발의한 배경을 설명했다.


이날 회견에 참석한 김민선 미주한인이민사박물관장은 "한국은 미국의 가장 강력한 동맹국이자 최대 투자국 중 하나"라며 "이 법안의 해결책은 양국 최선의 이익에 부합한다"고 밝혔다.


수오지 의원은 "나와 뜻을 같이하는 의원으로 캘리포니아 출신 한국계 미국인인 영 김 의원(공화·캘리포니아)이 있다"며 김 의원이 이날 발의된 법안의 공동 발의자로 참여했다고 전했다.

현재 미 연방 하원에는 지난 7월 김 의원 발의로 연간 최대 1만5000개의 한국인 전문직 취업비자(E-4)를 발급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유사 법안이 계류된 상태다.


앞서 미 의회조사국(CRS)은 지난 12일 한미관계를 업데이트한 보고서에서 조지아주 공장 구금 사태가 한미관계에 악영향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하면서 하원에 계류된 김 의원의 법안에 대해 "한국 국적자에 대한 고숙련 비자를 제공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지은 기자 jelee0429@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