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 "귀국 한국인 美재입국 문제 없어…국무장관 확약"

19일 외신기자 간담회 발언

조현 외교부 장관이 19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SFCC외신기자 간담회에 참석, 신정부 외교성과와 향후 외교정책 추진 방향에 대해 발언 하고 있다. 2025.9.19 조용준 기자

조현 외교부 장관이 19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SFCC외신기자 간담회에 참석, 신정부 외교성과와 향후 외교정책 추진 방향에 대해 발언 하고 있다. 2025.9.19 조용준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

조현 외교부 장관이 19일 미국 조지아주 한국인 구금 사태와 관련해 귀국 한국인들의 "재입국에 문제가 없다고 믿는다"고 밝혔다.


조 장관은 이날 오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외신기자 간담회를 갖고 미국 재입국에 불이익이 없다는 정부의 입장에 의문을 표하는 외신 질문에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한테서도 확약받았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한국의 대미투자 선결 조건은 아니지만 실질적으로 아주 중요한 문제"라며 "실질적 투자가 시작되기 전에 어떤 방식으로든 해결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단기 상용 B1 비자나 미국 전자여행허가(ESTA·이스타)의 활용에 대해 기업에 어떤 안내를 하고 있느냐는 질문에는 "어떤 일을 할 수 있느냐의 최종적인 권위 있는 답은 미국 정부가 내려야 한다"면서 "당장 한국 기업에서 인력이 미국으로 가야 하는 데 대해선 그때그때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합의해서 문제없도록 해결할 계획"이라고 했다.


그는 "장기적으로는 새 비자 카테고리를 만든다든지, 주한미국대사관에서 기업인 비자 특별 데스크를 만든다든지 이런 것을 워킹그룹을 통해 신속하게 협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미 통상 협상과 관련해 한국이 25% 관세를 받더라도 서두르지 않겠다는 것이냐는 질문에는 "그렇지 않다"면서 "한국 기업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정부가 신속히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다만 미국의 제안 중에는 우리 국민에게 부담을 지우는 내용이 있고, 그 경우 우리는 국회 동의를 받아야 한다"며 "그 외에도 우려스러운 점들이 있는 것을 미국 측에 잘 설명하고 서로 윈윈할 방안을 만들어내야 하므로 협상이 지연되고 있을 뿐"이라고 부연했다.

조현 외교부 장관이 19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SFCC외신기자 간담회에 참석, 신정부 외교성과와 향후 외교정책 추진 방향에 대해 발언 하고 있다. 2025.9.19 조용준 기자

조현 외교부 장관이 19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SFCC외신기자 간담회에 참석, 신정부 외교성과와 향후 외교정책 추진 방향에 대해 발언 하고 있다. 2025.9.19 조용준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

전날 중국에서 돌아온 조 장관은 시진핑 주석의 방한을 한중 관계 도약의 계기로 만들려고 한다는 입장도 밝혔다. 조 장관은 17~18일 1박 2일 일정으로 중국 베이징을 찾아 왕이 외교부장(장관)과 만났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양국 외교 장관의 대면 회담은 이번이 처음이다.


조 장관은 "한중 간에는 무엇보다도 한반도에서의 평화와 안정을 도모한다는 데 상호 접점이 있다"면서 "중국 경제가 빠르게 발전하면서 이제는 중국 기업들이 (한국 기업과) 협력적 관계보다는 경쟁적 관계 단계로 넘어갔다"고 짚었다.


아울러 한국의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가입을 위해서는 일본과 후쿠시마산 수산물 수입 제한 문제를 논의해야 하지 않느냐는 일본 매체 질문에 "한국민이 가진 그 지역 수산물에 대한 우려가 해소되기 전에는 제한을 풀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고 답했다.


이어 "일본과 필요한 협상은 하겠지만, 이 수산물 수입 제한 조치 철폐가 CPTPP 가입의 선제 조건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우크라이나 전쟁을 벌이고 있는 러시아에 관해서는 "현재로서는 제재를 추가한다든가, 반대로 러시아와 먼저 협력의 이니셔티브를 만든다거나 이런 것은 갖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또 러시아가 대북 관계에서 조정자 역할을 할 수 있지 않겠느냐는 러시아 매체의 질문에 "러시아가 그런 역할을 할 수 있다면 물론 협의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면서도 "러시아와 현 단계에서 공식적인 외교의 복원을 해나가면 조금 부담스럽다"고 말했다.





차민영 기자 bloomi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