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9·19 남북 평양공동선언 군사합의 7주년 기념식에서 "박정희 시대의 '7.4 공동선언', 노태우 대통령의 '남북 기본합의서'를 국회에서 여야 합의로 한번 인준해 볼까 한다"고 밝혔다.
문재인 전 대통령(사진 오른쪽)과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9일 경기도 파주 캠프 그리브스에서 열린 9.19 평양공동선언 남북군사합의 7주년 기념식 및 2025 한반도 평화주간 개막식에서 대화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정 대표는 이날 경기도 파주 캠프 그리브스에서 열린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통해 "문재인 대통령의 '9.19 평양 공동선언'은 군사 합의를 통해 실질적인 평화 선언에 다가갔다. 이 선언 하나만 지켜졌더라면 한반도의 평화, 한반도의 운명이 달라졌을 텐데 하는 안타까움이 컸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정 대표는 "김대중 대통령의 '6.15 공동선언', 노무현 대통령의 '10.4 정상선언'이 가진 정신은 너무나 훌륭하다"면서 "남북 간 긴 역사적 합의들은 왜 번번이 실천되지 않고 지켜지지 않고 파괴됐을까 늘 안타깝게 생각하는 일"이라고 했다.
이어 "민주주의를 통해 정부가 교체되는 한국의 특성 때문에 어쩔 수 없다고 하기에는 너무 아까운 선언들이 많다"면서 "민주당에서는 합의서들을 법제화해 그 정신을 정권과 상관없이 지켜가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모색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법제화로만 가능할지 저도 알 수 없다. 북한도 법제화가 가능할지는 미지수"라면서 "과거 서독처럼 보수, 진보를 떠나 남북 정책을 일관되게 진행하도록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실질적 노력을 해야 할 때가 아닌가 생각한다. 때가 되면 북한에 우리의 노력이 전달됐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행사에는 문재인 전 대통령도 참석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연내에 만나고 싶다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북미 대화 의지를 환영하며 빠른 시일 내에 성사되길 희망한다"며 "김 위원장의 결단이 지금 이 시기에도 한반도 평화의 열쇠가 될 수 있다. 김 위원장의 용기 있는 결단을 다시 한번 보여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