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이 아이폰에 차세대 메시징 기능인 'RCS(Rich Communication Services)'를 도입하면서 갤럭시 등 안드로이드폰과 그룹 채팅, 대용량 파일 전송이 가능해졌다.
RCS를 사용하면 카카오톡처럼 그룹 채팅(최대 100명), 고화질 사진과 영상 공유 등을 문자메시지 애플리케이션(앱)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는 애플의 최근 iOS 26 업데이트를 통해 국내에서도 아이폰 RCS 메시징 서비스를 지원한다고 19일 밝혔다.
RCS는 문자메시지의 진화된 세계 표준 규격으로 보다 편리하고 풍부한 메시징 경험을 제공한다. 그동안 국내에선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인 갤럭시폰 사용자 간에만 이용이 가능했다. 애플 아이폰의 경우 자체 서비스인 '아이메시지'를 고수하다 지난해 말부터 국가별로 순차적으로 RCS를 확대 적용하기 시작했다.
국내에선 이번 업데이트 이후 아이폰에서도 RCS를 사용할 수 있게 됐다. 단, 아이폰으로 RCS를 사용하려면 iOS 26 이상을 지원하는 아이폰 11 시리즈 이후 단말이 필요하다.
이제 국내 아이폰 사용자도 안드로이드 단말 사용자와 최대 100명까지 그룹 채팅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읽음 확인, '입력 중' 표시 고화질 사진·동영상 전송 등 다양한 RCS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5MB 이하 첨부파일의 경우 데이터 비과금 정책을 적용해 요금 걱정 없이 이용 가능하다. RCS로 이모티콘도 지원해 풍부한 감정표현이 가능해진다.
기업 입장에서는 마케팅용 RCS 메시지에 각종 멀티미디어를 활용해 더욱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RCS는 '브랜드 프로필' 기능이 적용돼 RCS에 브랜드를 등록한 기업이 보내는 메시지를 안심하고 확인할 수 있다. 주소록에 저장되지 않은 번호라도 어떤 기업이 메시지를 보냈는지 브랜드 로고와 연락처 등 기업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다.
통신 3사는 "이번 아이폰 RCS 도입으로 운영체제에 따른 제약 없이 고객들이 향상된 메시징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도 고객들의 통신 경험을 혁신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