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해상풍력 급증, 한국 전선업체가 뜬다

유럽·중 해상풍력 확대…연평균 27% 성장
LS전선·대한전선 전력용 해저케이블 증설

글로벌 해상풍력 급증, 한국 전선업체가 뜬다 원본보기 아이콘

최근 미국·중국·유럽 등은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용 수요 급증 등의 이유로 가능한 모든 발전원 확충에 속도를 내고 있다. 국내에서도 내년 3월 '해상풍력 보급 촉진 및 산업 육성을 위한 특별법'이 시행되면서 인허가가 신속 처리돼 해상풍력 프로젝트가 활발해질 전망이다. 해상풍력 확대로 자연스레 송전망 확충도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빠른 속도로 늘어나는 해상풍력 프로젝트

19일 IBK투자증권은 '해상풍력이라 쓰고 해저케이블이라 읽는다' 보고서를 통해 세계 각국 해상풍력 프로젝트가 잇따라 추진되면서 전력용 해저케이블 수요 확대가 지속돼 국내 전선업체가 수혜를 입을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과 유럽의 프로젝트 진행으로 글로벌 해상풍력 신규 설치의 연평균 성장률(2024~30년, CAGR)은 27.4%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에서도 작년 기준으로 2.3GW인 풍력 설비를 2030년 18.3GW, 2038년 40.7GW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글로벌 통신용 해저케이블 시장은 미국의 서브컴, 프랑스 ASN, 일본 NEC 3사가 과점하고 있다. 하지만, 전력용 해저케이블은 해상풍력 확대와 맞물려 국내 기업들이 설비 투자를 강화하고 있다. 국내 기업들에 글로벌 사업 기회가 늘어날 전망이다.


국내 전선업체, 공장 증설 박차

LS전선은 동해 HVDC(High Voltage Direct Current, 초고압 직류송전) 해저케이블 생산 설비 증설에 이어, 2027년 3분기 완공을 목표로 미국 최대 규모 HVDC 해저케이블 생산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대한전선 은 올해 6월 해저케이블 HVDC 1공장 2단계 공사를 마무리했으며, 9월에는 2027년 하반기 준공을 목표로 2공장 1단계 착공에 들어갔다. 또 최근 해저케이블 시공업체 자회사 편입으로 제조부터 포설·유지보수까지 밸류체인을 확대했다.


LS마린솔루션 은 케이블 적재 중량 1만3000톤급 초대형 포설선 발주와 장비 고도화를 통해 글로벌 포설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신규 포설선 운항 시점이 LS전선의 미국 해저케이블 공장의 제품 양산 예상 시점과 맞물리는 2028년 상반기부터 그룹 차원의 글로벌 턴키 수주 대응 역량이 유의미하게 확대될 전망이다.


베트남 전선시장 1위인 LS에코에너지 는 베트남 국영기업과 합작으로 HVDC 해저케이블 공장 설립을 추진 중이다. 순조롭게 진행될 경우 베트남이 동남아 해상풍력 중심지로 부상함에 따른 중장기적 수혜가 예상된다.





조시영 기자 ibpr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