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석유공사가 윤석열 정부의 핵심 사업으로 추진했던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사업 '대왕고래 프로젝트'가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결론 났다.
18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송재봉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석유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석유공사는 첫 탐사시추를 통해 확보한 시료를 정밀 분석한 결과 "상업적으로 회수 가능한 수준의 가스는 없다"고 판단했다.
석유공사는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2월까지 단독으로 7개 유망구조 중 가장 기대를 모았던 대왕고래에서 1차 시추를 진행했다. 이후 전문업체에 의뢰해 2월 말부터 8월 말까지 분석을 수행한 결과, 가스 포화도가 예상치에 한참 못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시추 전에는 열적 기원 가스가 50~70% 수준일 것으로 전망됐지만 실제로는 생물 기원 가스 평균 약 6%에 불과했다. 가스 포화도는 유전·가스전 상업성을 좌우하는 핵심 지표다.
석유공사는 "시추 결과 저류층·덮개암 등 석유 시스템 요소는 예상과 크게 다르지 않았지만, 심부 근원암에서 생성된 열적 기원 가스가 대왕고래 구조까지 이동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탐사계획을 보다 면밀히 세우고 탐사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송 의원은 이번 결과에 대해 "석유공사가 약 1200억원을 들여 시추에 나섰을 당시 윤석열 정부는 실패에도 불구하고 '추가 분석을 통해 정확도를 높이겠다'고 했지만, 실제 분석 결과는 국민 신뢰를 크게 훼손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앞으로 동해 자원 탐사는 신중하고 투명하게 이뤄져야 하며 전 과정을 국민 앞에 공개해야 한다"며 "윤석열 정부의 무분별한 탐사 추진에는 반드시 책임 있는 조치가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