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무역 협상을 진행 중인 중국이 미국 기업 구글에 대한 반독점 조사를 중단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두 명의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은 이러한 결정을 내렸다. 다만 구글은 아직 조사 중단 결정을 공식 통보받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시장감독관리총국은 구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시장 지배력과 안드로이드를 사용하는 오포, 샤오미 등 중국 휴대폰 제조업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지난 2월부터 조사를 시작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부과에 대한 보복 조치로 풀이됐다.
소식통들은 당국의 구글 조사 중단 결정에 대해 중국이 미·중 무역 협상의 핵심 지렛대로 엔비디아에 규제 화력을 집중하면서 전략적 재조정에 나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한 소식통은 구글 조사를 중단하면 중국이 협상에서 유연성을 발휘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를 미국에 보낼 수 있다고 덧붙였다.
미·중은 지난 14~15일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제4차 고위급 무역 회담을 열었다. 시장감독관리총국은 회담이 진행 중이던 지난 15일 2020년 조건부로 승인했던 엔비디아의 이스라엘 반도체 기업 멜라녹스 인수 건에 대해 반독점법 위반 추가 조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엔비디아가 중국의 반독점법을 위반한 것으로 밝혀지면 전년도 매출의 1~10%에 달하는 벌금을 물게 될 수 있다.
또 중국 인터넷정보판공실(CAC)은 바이트댄스와 알리바바 등 자국 IT 기업들에 엔비디아의 새로운 중국 전용 칩 'RTX 6000D'의 테스트와 주문을 중단하라고 지시했다.
이번 사안에 정통한 다른 소식통은 "사건 하나는 버리고 다른 하나는 붙들려는 것"이라며 "중국은 보복 대상을 좁혀서 보복의 위력을 키우려 하고 있다"고 말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